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증의 좌심실 수축 기능장애가 동반된 말기 신부전증환자에서 CAPD 후의 임상경과 (Clinical Outcomes after CAPD in End Stage Renal Disease Patients withSevere LV Systolic Dysfunction)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02.02
6P 미리보기
중증의 좌심실 수축 기능장애가 동반된 말기 신부전증환자에서 CAPD 후의 임상경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장학회
    · 수록지 정보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21권 / 1호 / 102 ~ 107페이지
    · 저자명 : 박진영, 송준호, 이승우, 김일권, 김문재

    초록

    배 경:좌심실 수축 기능장애가 동반된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액투석은 체외순환에 의한 심장의 부하를 증가시켜 심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심장부하가 적고 지속적으로 체액량을 조절 가능한 복막투석이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어 중증 좌심실 수축 기능장애 환자의 복막투석 후의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1996년 9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인하대학교병원에서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CAPD)을 시행한 환자들 중 시행 당시부터 중증 좌심실 수축기능 장애가 동반된 18예의 환자의 임상 경과 및 예후를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대상 환자 18예에서 남자 11예, 여자 7예, 평균 연령 61.2±11.6세, 평균 CAPD 추적 기간은 12.7±10.6개월(1-34개월)이었다. 대상 환자들의 좌심실 수축 기능 장애의 원인은 허혈성 심질환 15명(83.3%), 확장성 심근증 2명(11.1%), 낭창성 심근염 1예(5.6%)였다. CAPD 수술 전 시행한 심장평가에서 모든 환자들은 NYHA class III 이상의 증상을 보였고, 심초음파상 평균 심구출율(ejection fraction)은 27.6±10.6%이었다. 6개월 후 추적한 심초음파에서 대상 환자들의 평균 심구출율은 44.8±13.1%로 평균 17.2%의 호전을 보였다. CAPD 후 13명(72.2%)의 환자들은 좌심실 수축 기능장애로 인한 심부전의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5명(27.8%)의 환자에서는 호전은 없었으나, 악화되지는 않는 소견을 보였다. 호전을 보이지 않은 환자들은 호전을 보인 환자들에 비해 여성이 많았고, 평균 연령이 높았으며, 대개 혈액투석에서 전환된 특징을 보였으며 사망률이 60.0%로 호전을 보인 환자들의 30.8%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사망 환자는 7예로 기존 심혈관 질환의 악화 4예, 복막염 2예, 급성 심근 경색 1예, 뇌출혈 1예였다. 환자들의 생존율을 동일 시기에 CAPD를 시작한 좌심실 기능부전을 동반하지 않는 CAPD 환자 103명을 대조군으로 비교하면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에 71.4%, 58.4%, 41.7%, 41.7% 대 92.3%, 88.2%, 85.4%, 77.8%로 좌심실 기능부전이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결 론:좌심실 수축 기능 장애가 동반된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CAPD는 심부전의 증상 개선 및 심기능의 회복에 도움이 되며 대부분 CAPD 자체 보다는 기저 심혈관 질환의 중한 정도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is known to be a relativel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cardiac loading and improving the symptoms and survivals in the patients with severe left ventricular(LV) dysfunction, who are refractory to conventional medical treatments.
    Methods: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course and prognosis of 18 patients initiating CAPD and manifesting severe LV dysfunction at the same from September, 1996 to December, 2000 in Inha University Kidney Center. To know the effect of LV dysfunction on the survival, the outcomes of 103 CAPD patients with normal cardiac function was compared as control group.
    Results:Total subjects were 11 male and 7 female with a mean age of 59.9±11.6 years. Causes of end stage renal disease were diabetic nephropathy (12), chronic glomerulonephritis(1), lupus nephritis(1), and unknown(2). Mean follow-up duration was 12.7±10.6 months. In pre-CAPD period, all subjects showed cardiac symptoms of NYHA class III or IV with a mean ejection fraction of 27.6±10.6%. Six months after CAPD, mean ejection fraction of all patients was improved up to 44.8±13.1%. 13 patients(72.2%) showed improvement of cardiac function in terms of NYHA class. Five patients showed neither improvement nor aggravation of cardiac function, who were mostly female, older, and transferred from hemodialysis and three of whom died. During follow-up period, seven patients died because of aggravation of previous cardiac disease(4), acute myocardial infraction(1), cerebral hemorrhage(1) and peritonitis(2). When compared to 103 patients without LV dysfunction who started CAPD, 1-year survival was poorer in the patients with LV dysfunction(41.7% vs 77.8%, p<0.05).
    Conclusion:LV dysfunction is still a risk factor of poor survival, CAPD may improve symptoms and systolic cardiac fucntion in ESRD patients with severe LV dysfun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