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내력과 양식적 특징 (History and Stylistic Features of Baekdamsa Templ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04
42P 미리보기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내력과 양식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79호 / 79 ~ 120페이지
    · 저자명 : 손영문

    초록

    백담사 불상은 1748년 평강 보월사 대법당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된 三佛像 중우협시 아미타불상으로, 평강 보월사의 폐사로 고성 화암사를 거쳐 백담사로 이안된 내력을 갖고 있다. 백담사 불상에서는 불상 조성 내력을 담고 있는 발원문이 발견되어 18세기 전반 불사와 관련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이 불상은 靑虛休靜(1520~1604)의 법맥을 계승한 喚醒志安(1664~1729)의 문도들이 중심이 되어, 평강 보월사를 중창하면서 조성한 불상으로, 18세기 문중 의식이 고조되는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불상을 조성한 수조각승은 팔도도총섭 예하의 북한 산성 소속의 승장으로 파악되고 있어 당시 불사가 팔도도총섭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이러한 불사의 운용은 임진왜란을 겪는 과정에서 재편된 佛敎 僧政體制 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백담사 불상은 전란 이후 변화된 승정체제의 불사운용 시스템의 지속화 과정을 보여준다.
    백담사 불상을 비롯하여 평강 보월사 대법당에 봉안된 삼존상이 최근 모두 확인되었다. 세 구의 불상은 18세기 시대 양식이 반영된 가운데, 특히 본존불은 고려 말 조선 초에 성행한 원ㆍ명대 티벳 불상 영향도 짙게 반영하고 있다. 이는 이 불상을 제작한 조각승들의 활동 지역이 경기, 황해, 강원 등 우리나라 중부지역인 것과도 관련성이 깊다. 특히 인성을 비롯한 치준은 17세기 활약한 인일과 현진, 각민 등의 조각 작품을 학습하거나 이들이 만든 불상을 수리하면서 이들의 조각풍을 습득하였고, 또한 고려 말~조선 초 금강산 일원에 봉헌된 티벳양식 불상을 접했던 경험을 삼불상 조형에 반영하였다.
    백담사 아미타불상은 1748년 조성된 기년 작 불상으로, 북한산 일원에서 활약하던 조각승 인성과 강원도 금강산 일원에서 활약하던 치준 등이 협력하여 조성한 18세기 대작 불사의 성과물로서 의의가 크다. 新舊 양식이 공존하는 불상으로서 주목될 뿐만 아니라 당시 조각승들의 조각 태도와 동향을 연구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영어초록

    The Amitabha Buddha statue of Baekdamsa temple, one of the three Buddha statues, which is standing in the right-side, was created in 1748 to be dedicated to the Great Hall of Pyeonggang Boryeolsa temple. the Amitabha Buddha statue has a history of being brought to Baekdamsa temple through Hwamamsa temple in Goseong, with the closing of Pyeonggang Boryeolsa temple. An original statue creation text containing the history of the statue’s creation was found in Baekdamsa templ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Buddhist temple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is Buddha statue was created by the followers of Hwanseongjian(1664~1729), who inherited the Buddhist doctrine of the Cheonghehuejeong (1520~1604), while building Pyeonggang Bowolsa temple, which reflected the atmosphere of the consciousness of the society during the 18th century. In particular, the Buddhist monk who created the Buddha statue was identified as one of Buddhist monks under Paldodochongseop in Bukhansanseong fortress.
    This was an important example that shows Buddhism was practiced through the Paldodochongseop. This practice of Buddhism wa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Buddhist monk hierarchy during the Imjin-year War against Japan, and the Baekdamsa temple’s Buddha statue showed the continuation of the practice of Buddhism use in the post-war period.
    The three statues enshrined in the Great Hall of Pyeonggang Boryeolsa temple, including the Buddha statue of Baekdamsa temple, have all been recently confirmed. While the three statues reflect the style of the 18th century, the main Buddha statue, in particular, strongly reflects the influence of Won and Ming dynasty Tibetan Buddhism, which flourish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sculptors of these Buddha were bas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which includes Gyeonggi, Hwanghae, and Gangwon province. In particular, Buddhist monk In-sung and Chijun acquired the sculptural style of Buddhist monk In-il, Hyun-jin, and Gakmin, who were active in the 17th century. Buddhist monk In-sung and Chijun developed their skills by studying sculptures or repairing the statues, and also by encountering Tibetan-style Buddha statues consecrated at Mount. Geumg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mitabha Buddha statue of Baekdamsa temple, created in 1748, is an 18th-century masterpiece of Buddhist sculpture created in collaboration by In-sung, a Buddhist sculptor active in Mount, Bukhansan, with Chijun, a Buddhist sculptor active in Geumgangsan, Gangwon province. It is not only notable as a Buddha statue where old and new styles coexist, but also an important source for studying the sculpting attitudes and trends of sculptors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