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in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of the Seokgata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1.08
28P 미리보기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38권 / 251 ~ 278페이지
    · 저자명 : 김효율

    초록

    팔방금강좌는 석가탑을 팔방에서 에워싼 8개의 원형좌대로서, 하층기단과 함께 석가탑의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팔방금강좌에서 황금비율의 존재와 활용방식을 논의하였는데, 먼저 평면구조를 검토한 다음 금강좌의 연화문 도안을 검토하였다.
    팔방금강좌의 평면구조는 정사각 및 원으로 구성된 일종의 기하학적 도형이다. 본 연구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실측자료에서 구한 평균값으로 이 도형을 재구성하고 다시 관련 부분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팔방금강좌의 중심을 연결한 정방형(좌심정방형)은 하층기단(면석기준)을 φ배(φ≒1.618)한 것이다. 2) 이 두 정방형의 간격을 φ로 나누면 금강좌의 직경과 같다. 3) 이웃 금강좌를 연결하는 좌간대석의 폭은 금강좌의 반경을 φ로 나눈 것이다. 이 세 가지 정보는 평면구조의 재구성에 필요한 전부인데 모두 황금비율로 결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팔방금강좌의 평면구조는 황금비율로 설계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금강좌의 표면에 조각된 8엽 연화문은 중심에서 내자방, 외자방, 내연판, 외연판 및 외곽으로 확대되는 5개의 동심원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석가탑의 입면에서 발견된 황금비율들을 적용하고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들의 간격을 추적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이웃한 동심원 간격들은 다양한 황금비율을 이룬다. 2) 8개 금강좌는 동심원 구조에서 동일하다.
    팔방금강좌의 연화문은 단예판과 복예판이 각각 4개씩인데, 그들의 배열은 시계방향으로 단예판 2개, 복예판 1개, 단예판 2개, 복예판 3개로 이어진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8=2+1+2+3 인데, 이는 황금비율의 자연수적 표현이고 피보나치수 8의 피보나치수열 구조와 같다.
    요컨대, 팔방금강좌는 평면의 구조와 연화문의 도안 및 배열까지 모두 황금비율로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황금비율의 관점에서 팔방금강좌는 석가탑 입면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together with the lower base consist of the ground plan of "Seokgatap", the three story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built in the 8th century. This study tried to find golden ratios in the Thrones and the way to apply the ratios. The study has been done by two steps; firstly the structure of the Thrones and secondly the design on its surface.
    The structure of the Thrones is a kind of geometrical diagram consisted of squares and circles. The study tried to reconstruct the diagram with the average figures of the surveyed value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it arrived at the following results by comparing the related parts; 1) the width of the square formed by the inter-center segments bewteen the Thrones equals that of the lower base square multiplied by φ(≒1.618). 2) the diameter of a Throne multiplied by φ equals the space between the two squares. 3) the width of a belt stone between near Thrones equals the radius of a Throne divided by φ. As these three values of the results are all that needed to draw the diagram, we can safely conclude that the Thrones are designed under the principle of golden ratio.
    The subject of the surface design on a Throne is an eight-petal lotus which has five concentric circles of inner ovary, outer ovary, inner petal, outer petal and outskirts. The study traced the spaces between near concentric circles by checking various golden ratios found on the elevation of the Seokgatap. And concluded that the eight Thrones have a same pattern of the concentric circles and every two near segments of the radius produced by the circles revealed one of the golden ratios.
    A Throne may have a single or double petal design on the surface. And there may be many alternatives to setup them on the eight Thrones.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xisting setup and argued that it means the golden section expressed by natural numbers. That is the same meaning as the Fibonacci number 8 equals 2+1+2+3.
    One may safely conclude from the above findings that the ground plan of the Seokgatap, just like the elevation, is designed under the principle of golden rati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