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항 송림 비소오염토양의 식물재배정화를 위한 식물종 선정 (Selection of Plant Species for Phytoremediation of Arsenic Contaminated Sandy Soil in a Pine Forest at Janghang, Kore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09
13P 미리보기
장항 송림 비소오염토양의 식물재배정화를 위한 식물종 선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응용생태공학회
    · 수록지 정보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11권 / 3호 / 65 ~ 77페이지
    · 저자명 : 배범한, 김영훈

    초록

    장항 송림 비소오염토양의 식물재배정화법에 적합한 식물종 선별을 위한 일련의 화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식물종은비소를 흡수/제거할 수 있는 자생식물로, 송림의 타감작용, 사토 및 반양지의 환경 조건에서 생장가능해야 한다. 총 11종의식물을 송림토양을 넣은 화분에 정식하고 온실에서 3개월 재배하고, 비소축적, 생체량 및 bioconcentration factor (BCF) 및비소제거량을 측정하였다. 수크령이 지상부에 111.95 mg/kg의 비소를 축적하였고, 송엽국은 BCF가 3.52이었고, 고생체량 식물인송엽국과 인동덩굴은 지상부에 각각 8.49 mg/kg 및 2.87 mg/kg의 비소를 축적하였다. 비소 흡수 증진을 위해 선정한 3종식물의 화분에 oxalate를 1개월간 10, 20 및 40 mmol/kg-soil의 비율로 분할 주입하였다. 그 결과, 식물 생장 및 토양 미생물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40 mmol/kg-soil에서 수크령의 지하부 비소 농도가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영어초록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select suitable plant species for phytoremediation of arsenic (As) contaminated sandy pine forest soil in Janghang. Native plant species could uptake and remove As and sustain growth under the allelopathy of the pine forest and half-shade environmental conditions. We transplanted a total of 11 species into the pine forest in a pot, cultured them in a greenhouse for 3 months, and then harvested these plants to measure As accumulation, fresh weight, bioconcentration factor (BCF), and the amount of As removal per plant. The BCF of Lampranthus spectabilis was 3.52 and the amount of As taken up in Pennisetum alopecuroides shoots was 111.95 mg/kg. Higher biomass plants Lampranthus spectabilis and Lonicera japonica took up 8.49 mg/kg and 2.87 mg/kg of As in the above-ground parts, respectively. We applied oxalaic acid of 10, 20, and 40 mmol/kg-soil in total (divided into 15–20 splits) to each pot over a period of one month to enhance As uptak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plant growth or soil dehydrogenase activity.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05) in As uptake in Pennisetum alopecuroides was observed when a higher amount of oxalic acid (40 mmol/kg-soil) was appl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