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泰安地域 巫俗人들의 종이 오리기 工藝에 대한 一考察 (A study on the artistic handcrafts of cutting paper of shamans in Tae-an)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0.02
58P 미리보기
泰安地域 巫俗人들의 종이 오리기 工藝에 대한 一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8권 / 217 ~ 274페이지
    · 저자명 : 신상구

    초록

    무구(巫具)는 신성한 신(神)을 상징하거나, 신의 의도 및 행동을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무속의 관념과 상징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한 요소가 되고 있다.
    충청지역의 앉은굿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무구는 경청(經廳)을 장식하는 종이무구이다. 그런데 서산, 태안, 홍성, 보령 등 충남 서북부지역에서는 종이무구를 주로 설위(設位), 설경(設經), 설위설경(設位說經), 그리고 서류로 부르고 있다.
    종이무구로는 위목(位目), 이문(泥文), 철망(鐵網), 접신(接神)을 위한대, 부적(符籍), 고깔, 그리고 지화(紙花)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아름다운 것은 철망(鐵網)으로 예술적 특성이 가장 강한 편이다.
    그리고 종이무구는 종이 가닥의 크기와 모양, 사회ㆍ경제적 배경,신관, 종이무구 제작자의 스승과 기능, 무경의 종류, 그리고 지역의특성 등에 의해 차별화되고 있다.
    충청지역에서 앉은굿을 하는 법사나 보살들은 설위를 제작하여 경청을 꾸미고, 종이를 가닥 내어서 만든 여러 신대를 통해 신을 강림시켜서 인간의 문제를 해결한다.
    경청을 종이무구로 아름답게 꾸며놓고 송경(誦經)을 하는 목적은잡신(雜神) 또는 잠재적으로 해로운 신령들을 위협하여 구축하는 데에 있다.
    그래서 나는 모든 설위가 잡신(雜神)을 억압하는 무경(巫經)의 시각적인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아무튼 앉은굿을 하는 무속인들이 설진에 사용하는 종이 오리기공예 작품은 무구(巫具)의 일종에 지나지 않으나 예술성이 매우 높은편이다.
    실제로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은 그 자체만으로도 독립된 예술로 인정받을 수 있을 만큼 아주 세밀하고, 정교하고, 섬세하고, 복잡하고, 신기하고, 독특하고, 모양(문형)과 색상이 다양하여아주 아름답게 보인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앉은굿을 하는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는 전국적으로 분포했으나 지금은 충남 서해안의 내포지역인 태안ㆍ서산ㆍ보령ㆍ서천 지역에서만 일부 행해지고 있다. 게다가 종이 오리기 공예를 배우려는 40대 이하의 젊은이들이 거의 없고, 전수교육이잘 이루어지지 않아, 종이 오리기 공예 기술의 전승이 잘 안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무속인들 중에서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이 뛰어난 사람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매월 90만원씩 지원하여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을 후세에 전수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설위설경보존회 회장인 장세일(張世壹) 법사는 특히 양각방식(陽刻方式)의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이 뛰어나 1998년 7월 25일 충청남도로부터 무형문화재 제24호 설위설경 기능보유자로 지정 받았다. 그는 지금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 50여 종류와 부적 100여 종류를 시현하면서 설위설경보존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위설경(設位說經) 전수에 힘쓰고 있다.
    그런데 장세일 법사의 증언에 의하면, 설위설경 전수자들마저도돈벌이에 혈안이 되어 무업에 전념하는 바람에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 연마를 소홀히 해 작품 수준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2009년 11월 16일 현재 설위설경보존회 회원은 64명인데,그들 중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회원은 50여 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리고 정식으로 설위설경보존회에 가입해 장세일 법사로부터 체계적으로 종이 무구 제작 기술을 전수받고 있는 무속인은 정해남(丁海南,71세) 법사ㆍ김종일(金鍾一, 62세) 법사ㆍ조부원(趙富元, 59세) 법사ㆍ황옥순(黃玉淳, 47세) 보살 등 4명에 불과한데, 이들 중 남자 법사 3명은 공사다망한데다가 회장과의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해 이미 오래 전부터 설위설경보존회 사무실에 거의 나오지 않아 설위설경의교육과 전수가 잘 안되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요즈음은 굿이 간소화되어 설진을 해놓고 굿을 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어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 수가 해마다 줄고 있고, 설진(設陣)에 쓰이는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은 굿이 끝나면바로 소각해 버리기는 경향이 있으며,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작품을 전시해 놓을 공간이 부족해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의 계승발전이 잘 안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충청남도와 태안군청에서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4호설위설경 기능보유자인 장세일(張世壹,76세) 법사가 적어도 30-40명의설위설경보존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설위설경의 전수교육이가능하고 설위설경 관련 각종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과 부적 작품 및각종 사료와 무속 도구의 전시와 보존이 가능하도록 방부 처리가 잘되는 최소한 연건평 200평 정도의 가칭 태안군 설위설경보존회관을접근성이 높은 곳에 어서 빨리 건립하고 태안마애삼존불, 패총박물관등과 연계하여 관광자원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태안군청과 태안문화원에서는 예술적 감각과 기능이 뛰어나고 상상력과 창의성이 풍부한 젊은 무속인들이 긍지와 자신감을가지고 설위설경 전수에 매진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incentive)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설위설경보존회 회원들 모두가 주인의식을 가지고 설위설경보존회 사무실에 자주 나와 모임을 갖고 상호간에 친목을 도모하여회원들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의사소통을 원만히 하여 아무런 불평불만이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설위설경(設位說經)의 교육과 전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전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생각한다.

    영어초록

    A shaman gear is an important factor for expressing idea and symbol system in Korean shamanism. Because a shaman gear symbolizes the divine god and believed to be used as its tool to express an intention and conduct of god.
    The paper shaman gear(종이 巫具) is an essential factor in Anjoon-kut(앉은굿) of Chungcheong province.
    The paper shaman gear consists of wimok(位目), imun(泥文),cheormang(鐵網), bamboo for meeting with god(接神을 위한 대),amulet(符籍), peaked hat(고깔), and paper flower(紙花) etc. The cheormang is the most beautiful of them. So I studied the artistic character(藝術性) of cheormang in this paper.
    In case of Anjoon-kut in Seosan and Taean area of Northwestern Chungnam, the paper shaman gear which is most widely used to embellish a decorated room to read shaman scripture(Kyungcheong, 經廳)is named as Sulwi(設位), Sulkyung(設經), SulwiSulkyung(設位說經), and Soryu(서류).
    The main purpose of scripture chanting(誦經) with decorating a paper shaman gear beautifully in Kyungcheong(經廳) is to threat and drive away miscellaneous or potentially harmful spirits.
    So I think that all sulwi are the visual presentation of a shaman scripture(巫經) which oppress miscellaneous spirits(雜神).
    The paper shaman gear is differentiated by the sizes and shapes of paper strands,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the viewpoint of god,the teacher and skill of maker, the kind of shaman scriptures, and the trait of region etc.
    When a shaman performs a Kut, a paper shaman gears are easy to make and burn.
    Most of paper shaman gear is burnt at the end of Kut(scripture chanting).
    So there are not many paper shaman gears which a shaman is preserving.
    By the way, the trait of paper shaman gear in Taean reg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aper shaman gear is exquisite and delicate. It’s shape and color is diverse. So that is seen beautifully.
    2. The paper shaman gear has strong magical character(呪術的 性格).
    3. The paper shaman gear has strong durability because that is made from durable materials such as window paper(窓戶紙) and Kyungmeonjusa(鏡面朱砂).
    4. The paper shaman gears are easy to make and burn.
    In case of Taean, the society for preserving SulwiSulkyung(設位說經保存會) is composed of 64 members.
    By the way, the Taean SulwiSulkyung is handed down mainly by the 5shamans such as Jeong hae nam(丁海南)ㆍKim jong il(金鍾一)ㆍCho Bu Won(趙富元) beopsa, Kim Yeon hee(金蓮姬)ㆍHwang ok sun(黃玉淳)bosal.
    Specially Jang Se il(張世壹) Beopsa have the most wonderful skill of making paper shaman gear by embossed carving techniqe(陽刻技法) in Korea. Really he can make 50 kinds of paper shaman gears, 100 kinds of amulets(符籍). And he can chanting 30 kinds of shaman scriptures(巫經)such as chuksagyeongmun(逐邪經文), chugwonmun(祝願文), gasingyeongmun (家神經文), gasinpuri(家神푸리), haewonpuri(解寃푸리), seongjupuri(성주푸리) etc.
    So he was designated with the number 24th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chungcheongnamdo on July 25, 1998 years.
    Jang Se il(張世壹) Beopsa is teaching his disciples systematically how to make paper shaman gear in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However, only Hwang ok sun(黃玉淳) bosal is taking part in SulwiSulkyung lecture opened Jang Se il(張世壹) Beopsa almost every day.
    So nowadays Taean SulwiSulkyung is not passed down well to his disciples. For that reason, unfortunately paper shaman gear is disappearing gradually.
    Therefore, I think Taeangun have to construct the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more broader than 200pyeong(坪) which 30shamans can teach and learn how to make paper shaman gear in the near future. Especially because paper shaman gear is to easy to decay, the spoil prevention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in the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Moreover I think Taeangun have to develope SulwiSulkyung into experience-based tourist goods connected to Korea floritopia(安眠島國際꽃博覽會) and activate local econom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