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黃宗羲 『易學象數論』의 「河圖」·「洛書」 비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ism of Hetu-Luosh(河圖洛書) Theory in Huang Zong-xi's Yixuexiangxhulu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7.11
32P 미리보기
黃宗羲 『易學象數論』의 「河圖」·「洛書」 비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문화 / 25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김동현, 유흔우

    초록

    황종희는 자신의 평생 학술 요점을 ‘性善論’과 ‘「하도」·「낙서」에 대한 새로운 견해’의 두 가지로 요약한 적이 있다. 이 논문은 그 가운데 ‘「하도」·「낙서」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분석한 것이다. 그의 ‘새로운 견해’란 「하도」·「낙서」가 고대의 地圖이자 地理書라는 것을 가리킨다. 이 견해는 그의 『역학상수론』 권1 중 「圖書」 6편에 나타나 있는데, 이 논문은 그것을 연구한 것이다.
    황종희는 明末淸初의 가장 중요한 易學者 중의 한 사람이고, 『역학상수론』은 그의 역학 저작에서 가장 중요한 저술이다. 『역학상수론』은 내편 3권과 외편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편은 주로 ‘象’을 토론한 것이고 외편은 주로 ‘數’를 토론한 것이다. 이 책은 理氣合一 또는 氣一元의 관점에서 특히 宋儒의 河洛先天學을 비판한 것이고, 그 가운데 「하도」·「낙서」설에 대한 비판이 기초를 이루고 있다.
    황종희의 경학 원칙은 經傳의 문장으로 經을 해석한다는 것이었다. 그의 상수역학 비판은 이 원칙으로 일관되어 있기 때문에 주로 고증학적 차원의 비판에 그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의 비판이 아무런 의미도 갖지 않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의 『역학상수론』은 「하도」·「낙서」를 둘러싼 온갖 신비주의적 해석을 걷어내고, 본래의 담박한 역학으로 되돌린 공로가 있기 때문이다. 『주역』을 인간의 일상생활의 쓰임으로 다시 되돌리는 것이 곧 황종희가 상수역학을 비판하는 궁극적인 목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하도」·「낙서」를 둘러싸고 전개된 온갖 신비주의적이고 형이상학적인 해석을 제거하는 것이 「하도」·「낙서」를 비판하는 그의 목적이었던 것이다. 이 논문은 간략한 분석을 통하여 황종희 역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영어초록

    Huang Zong-xi has summarized his lifelong academic point of view as theory of innate goodness and a new perspective on Hetu(河圖)-Luoshu(洛書). This paper is a study of a new view of his Hetu-LuoshuLon(河圖洛書論) among them. His new point of view is that ‘Hetu’ and ‘Luosh’ are ancient maps or sculptures. This view is presented in his Sixth Episode of Yixuexiangxhulun, Vol. 1, which is a study of it.
    Huang Zongx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s of Yijing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Yixuexiangxhulun is his very important book of Yijing learning. Yixuexiangxhulun consists of 3 inner volumes and 3 outer volumes. The inner volume mainly discusses the ‘xiang(象)’ and the outer volume mainly discusses ‘shu(數)’. This book is a criticism of scholar’s Hetu-LuoshuCongenitalology(河洛先天學) of the Song Dynasty,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of Li and Ki and monism of Ki, and the criticism of ‘Hetu’ and ‘Luosh’ is the basis of the book.
    Huang Zongxi‘s principle of pragmatics was to interpret the Qing(經) as a sentence of scriptures(經傳). His critique of Xiang-shu Yijing learning is consistent with this principle, and therefore has limitations that are limited to critical criticism. But his criticism does not mean anything. This is because his Yixuexiangxhulun is the result of recovering all the mystical interpretations surrounding Hetu-Luoshu and returning them to the original Yijing learning. It can be said that Huang Zongxi's ultimate goal of criticizing constant ‘xiang’ and ‘shu’ learning was to return the main character to the use of human daily life. It was his purpose to criticize Hetu and Luoshu to eliminate all kinds of mystical and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developed around Hetu and Luoshu.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ang Zongxi Yijing learning through a brief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