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시에 나타난 도학사상 연구 (A Study on Taoism in Poems by Jeompiljae Kim Jong-Jik)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1.02
40P 미리보기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시에 나타난 도학사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4권 / 1 ~ 40페이지
    · 저자명 : 김기

    초록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은 15세기의 학자이면서 문신으로 조선의 학풍과 정치 지형의 변화에 큰 역할을 끼친 인물이다. 그는 사장학(詞章學)으로 흘러가는 조선 전기의 학풍이 성리학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조선 정계의 주인공이 훈구파에서 사림파로 이동되도록 단초를 제공한 인물이다. 학문상에서 보면, 그는 사장학과 성리학을 겸한 인물이다. 그래서 그는 시문과 성리를 하나로 융합하려는 학문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고려말기에 수입된 성리학은 원대(元代) 허형(許衡) 학파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 허형 학파에서는 성리를 저술하기보다는 윤리의 실천에 더욱 심혈을 기울였다. 그런 이유로 김종직을 포함한 그 시대의 학자들은 그들의 사상을 드러내기 위한 저술활동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김종직은 예외로 많은 시를 남겼기 때문에 시에서 그의 도학사상을 규명해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그가 줄곧 재도적(載道的) 문학관을 견지하였기 때문이다. 그가 지은 시에는 도학적 요소가 용해되어 있는 작품들이 많다. 이러한 성향의 시를 ‘염락풍(濂洛風)의 시’라고 한다. 그의 도학사상은 『소학』을 기반으로 하여 수립되었다. 그는『소학』에서 제시한 윤리조목을 경(敬)에 의거하여 실행함으로써 본성을 함양하는 방식의 공부를 추구하였다. 그의 도학사상을 형성하는 데는 『소학』과 더불어 『중용』 또한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중용』의 ‘연비어약(鳶飛魚躍)’구를 자주 인용하여 도를 체득하는 것을 학문의 궁극적 목표로 삼으려는 의도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성격을 가진 그의 학문을 당시 사람들은 ‘심학(心學)’이라 불렀다. 그의 시 속에 나타난 도학사상의 핵심 내용은 수심(修心)․지도(志道)․체도(體道)․교화(敎化)․벽이단(闢異端)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여기서 본 그의 도학사상은 마음을 닦는 공부를 그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소학』에 제시된 윤리의 실천을 통한 함양공부, 그리고 『중용』의 체도(體道) 공부는 인간의 마음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의 심학적 도학사상은 후학들에게도 전수되어 내적 탐구를 지향하는 조선유학의 한 특징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Jeompiljae Kim Jong-Jik (1431~1492) was an eminent scholar who had contributed to implementing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He put a great effort to foster disciples as a leading head of numerous scholars in Neo-Confucianism and to transmit its philosophy in the Joseon society of his time.
    His academic interest was in practicing and fulfilling ethics based on the teachings from Sohak. He inherited the rich complexity of the Sohak thought from his own father, Kim Suk-ja, and practiced what he had learned. He had come to realize how important mind cultivation was then he started to concentrate on cultivating his mind. Because of this was that practicing ethics and cultivating the mind are deeply co-related to each other. Such an academic trend is called practicing ethics. He took pleasure in expressing these philosophical ideas in a form of poetry. Therefore,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f his philosophical thought in his poems. The result of analyzing his poems revealed a lot of traits in mind practice. In terms of his poems, his mind practice was also greatly influenced by meritorious thought from Sohak and ideas of the Tao in Zhongyong. This perspective has never been explored by other researches.
    His philosophical ideas in featured his poems were cultivating the mind, having the passion of disposition, attaining a great truth, enlightening the world, and defeating heresy. These ideas bring to the fundamental academic principle which is mind cultivation. He had a strong will for seeking the truth and tried to implement the great truth in his life. While educating the world based on his study, he also had a great intention to defeat heresy. Insights in his philosophy could b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bring light and life to this heartless moder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