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깡 정신분석의 실재와 현실, 환타즘 관계에 관한 일 고찰 (Une étude sur la relation entre le réel et la réalité, le fantasme de psychanalyse Jacques Laca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08
27P 미리보기
라깡 정신분석의 실재와 현실, 환타즘 관계에 관한 일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신분석 / 19권 / 2호 / 181 ~ 207페이지
    · 저자명 : 이유섭

    초록

    아이는 속성부여 판단으로 자아 안에 지각 대상들의 상징화를 구성한다. 속성부여판단으로 상징화되지 못한 나머지의 영역, 즉 상징화 전에 이미 존재하는 영역이실재이다. 실재는 상징화 너머에, 주체의 밖에 존재한다. 상징계는 실재(계)를현실에서 추방하지만, 실재는 현실을 말하기 위해 주체가 있기 전에 이미 거기에존재한다. 현실은 우리가 상상하기도 하고 말하기도 하는 그런 실재이다.
    라깡은 위상학을 빌어서 근원적 환타즘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주체의 현실 안에 실재가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R 도식 실재계 4각형의 절단과 뫼비우스 띠의 위상학으로 실재(계)는 상상계와 상징계 사이에서 이 둘은 같은 면을 공유하면서도 둘 사이에 경계를 구성한다. 환타즘의 장면이 현실의 영역을 꿰매는 것으로 수행된다 할지라도, 그것은 실재(계)를 잘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실재(계)는 경계 지역으로 남는다. 현실은 환타즘의 대표(대리표상)이고 주체는 재현의 대표(대리표상)이다. 무의식의 주체는 다른 시니피앙(S2)을위하여 하나의 시니피앙 (S1)으로 대리표상 되는 것이다. 현실의 영역은 대상 a의 추출에 의해서만 유지된다. 대상 a는 실재의 범주에서의 대상 a를 말하는 것으로 현실은이미지화 하고 이야기 하는 실재라는 것에 덧붙여서 환타즘화하는 실재라는 것을 의미한다. 환타즘은 창과 같은 프리즘인데, 우리는 그 프리즘을 통해 현실 구성을 위한 실재에이른다. 우리들 각자는 현실에 대한 고유의 비전이 있다. 이 비전은 창가에서 창밖의 세상을 보듯이 프리즘을 통해서 보게 될 것이고, 언젠가는 이 비전이 진실된 현실로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면서 자문자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환타즘은, 실재가 외부세계에 직접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재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것이다. 우리의 현실은 잉여 대상a, 즉 그 실재에 의해 틀이 짜여 진다.

    영어초록

    L’enfant constitue dans le moi la symbolisation des objets de la perception selon le jugement d’attribution. Lacan introduit une définition du réel que il est ce qui subsiste hors la symbolisation, est extérieur au sujet. Le symbolique l’a expulsé de la réalité.
    La topologie de Lacan permet d’inscrire ce qu‘il y a de réel dans la réalité du sujet, en tant qu’elle est indissociable de son fantasme fondamental.
    Par la coupure de champ de la réalité(de Schéma R), le réel constitue la frontière entre l’imaginaire et le symbolique, qui se retrouvent sur même bord. Si l’écran du fantasme vient obturer le champ de la réalité, il n’efface pas la coupure du réel, qui reste marginale. En effet, c’est cette coupure qui donne le cadre, la structure du fantasme. La coupure du plan projectif est aussi symbolisée dans la barre du sujet(S/ ), et le sujet(S/ ) correspond à la bande de Möbius, à la coupure.
    Nous avons la réalité comme tenant lieu du fantasme, et ensuite le sujet comme représentant de la représentation dans le fantasme. Mais ce champ de la réalité ne se soutient que de l’extraction de l’objet a en tant que réel. C’est-à-dire que la réalité est le réel tel qu‘on l’imagine ou le raconte. On pourrait ajouter, tel qu’on le fantasme.
    Lacan dit que le fantasme est notre fenêtre sur le réel. Le fantasme nous protège du réel, l’empêchant de faire directement intrusion dans notre monde intérieur. Notre réalité se trouve encadrée par le résidu a de l’opération oedipien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정신분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