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장평가 및 참여형 워크숍을 통한 스쿨존 내 안전통학로 개선방안 연구 -수원시 권선구 소재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Pedestrian in School Zone through Field Evaluation and Participation Workshop -For elementary schools in Gwonsungu, Suw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1.02
10P 미리보기
현장평가 및 참여형 워크숍을 통한 스쿨존 내 안전통학로 개선방안 연구 -수원시 권선구 소재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1호 / 213 ~ 222페이지
    · 저자명 : 이형승, 이석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스쿨존내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최근 사회의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정부는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화를 목표를 채택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쿨존내 어린이 교통사고 건수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스쿨존 내 보행환경은 많은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쿨존 내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어린이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의 초등학교 3곳을 대상으로 현장평가 및 참여형 워크숍을 통해 스쿨존 내 보행환경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스쿨존 개념과 스쿨존 현황 및 문제점 그리고 스쿨존 내 보행환경 디자인 방향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수원시 3곳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참여 워크숍과 체크리스트를 통한 현장평가를 통해 학교 주변 스쿨존 보행환경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 참여형 워크숍 및 현장평가 결과, 첫째, 불법 주정차 차량 문제는 참여형 워크숍에서 학생과 학부모가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제시되었다. 보행자 시야의 차폐로 교통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둘째, 보차도 혼용과 좁은 보행로 역시 현장평가 및 참여 워크숍 결과 보행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소였다. 이는 학교 주변으로 반드시 보행로를 확보하는 조치가 필요하며, 보행로 조성 시에는 보행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자전거 전용 도로의 조성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대상지 3곳에서 모두 부재했던, 승하차 존의 경우 등하교 시간에 교통사고 발생이 많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스쿨존 내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어린이와 학부모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참여형 워크숍을 진행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참여형 워크숍을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했기 때문에 주변의 주택 유형 및 주변 환경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못한 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안전한 통학로를 조성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보다 주택 유형, 경관 유형 등 다양한 주변 공간 특성을 고려하여 조사 및 분석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hildren's traffic accidents in the school zone have recently become a major issue in society, and the goal of zero traffic accidents for children has been adopted this year. Nevertheless, the number of child traffic accidents in the school zone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walking environment in the school zone requires a lot of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safe walking environment in the school zone. Through on-site evaluation and participatory workshops o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Gwonseon-gu, Suwon, Gyeonggi-do, where children's traffic accidents occur the most, we will identify problems in the walking environment in the school zone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design. (Method)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concept of the school zo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school zone, and the direction of the desig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school zon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Next, through an on-site evalu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at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uwon, we will diagnose problems in the walking environment of the school zone around the school and draw up improvement measures. (Results) As a result of participatory workshops and on-site evaluations, first, the problem of illegal parking vehicles was suggested to be the most serious problem for students and parents in participatory workshops. This is because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increases very much due to the shielding of pedestrian vision. Second, the mixed use of sidewalks and narrow walking paths were also a threat to pedestrian safety as a result of on-site evaluations and participating workshops. This necessarily requires measures to secure walking paths around the school, and when creating walking paths,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bicycle-only roads to ensure the safety of pedestrians. Third, the entry and exit zones, which were absent in all three destinations, were found to be something that must be improved, considering that there were many traffic accidents during school hour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participatory workshop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and parents in order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creating a safe walking environment in the school zone. This study failed to take into account the types of houses around them and the divers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it sought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field surveys and participatory workshops for three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research to create safe commuting routes in the future requires investigation and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urrounding space characteristics such as housing type and landscape ty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