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존(Existenz)의 구조 ― 『인간 자유의 본질』(1809)에서 제시된 셸링의 자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예비 ― (The Structure of Existence: a study on Schelling's concept of freedom in his Treatise on The Essence of Human Freedom(1809))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12
35P 미리보기
탈존(Existenz)의 구조 ― 『인간 자유의 본질』(1809)에서 제시된 셸링의 자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예비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헤겔학회
    · 수록지 정보 : 헤겔연구 / 42호 / 289 ~ 323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환

    초록

    이 글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1809)에서 제시된 자유의 내재적 이원성 구조에 대한 본격적인 이해와 논의를 예비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60년에 가까운 그의 긴 철학적 사유 여정 중 가장 극적인 국면으로 평가될 수 있는 1806년의 탈동일성철학적 전회를 통해 셸링은 그의 철학적 핵심 주제인 자유에 대한 새로운 이해, 이른바 “탈존”(Existenz)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특히 1809년에 출간된 『인간 자유의 본질』에서 셸링은 탈존의 가능성을 해명하기 위해 동일성철학에서 개진한 것과는 구분되는 자유의 본질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델인 “탈존하는 자 자신(das Existierende selbst)에 대한 탈존의 근거(Grund der Existenz)의 [내적] 구분”을 제시한다. 그런데 동일성철학 이후의 셸링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개념쌍인 “탈존하는 자 자신”과 “탈존의 근거”는 동시에 셸링 철학에서 가장 많은, 그리고 가장 지속적인 오해를 받아왔던 개념들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적인 개념들에 대한 지금까지의 오해를 교정하려는 최근의 여러 시도들 중 하나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선행 유관 연구에서는 주제적으로 다루지지 않았던, 셸링의 1809년 저작을 둘러싼 그 자신과 에셴마이어 간의 논쟁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1809년 착상에 대해 지금까지도 계속하여 가해지고 있는 부당한 오해의 한 전형에 대해 셸링 스스로가 어떻게 반박하고 있는지를 드러내는데 주안점을 둔다. 나아가 에셴마이어와의 서신논쟁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본 연구는, 셸링의 1809년 착상에 대한 세간의 오해는 그의 탈동일성철학적 전회라는 사상적 변화에 대한 몰이해에서 기원하고 있음을 새롭게 밝힌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handelt es sich um eine Vorbereitung zur weiteren Untersuchung nach Schellings neuem Freiheitskonzept in seiner 1809-er Freiheitsschrift. 1806 ersetzt Schelling das identitätsphilosohpische Freiheitskonzept die "intellektuelle Anschauung" durch das neue, die sog. "Existenz". Um die Wesensstruktur der Freiheit als Existenz plausibel zu machen, schlägt er in seiner 1809-er Freiheitsschrift das intern-dualistische Systemmodell vor, welches sich als den "Unterschied zwischen dem Wesen als dem Existierenden selbst und dem Grund der Existenz" darstellt. Das Begriffspaar das Existeierende selbst-der Grund der Existenz ist zwar der entscheidende Punkt für das Verständnis zu Schellings nachidentitätsphilosophischer Konzeption, trotzdem leidet es zugleich unter dem schwersten und dauerhaftesten Missverständnis in Schellings Philosophie. Durch die Nachzeichnung der brieflichen Debatte zwischen Schelling und Eschenmayer um das Freiheitskonzept in Schellings 1809-er Schrift versucht der vorliegende Aufsatz, das bisherige Missverständnis um das oben erwähnte Begriffspaar zu korrigieren und damit eine Basis zur tieferen Untersuchung bzgl. Schellings nachidentitätsphilosophisches Freiheitskonzept zu verschaff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