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리 안에서 그리고 자발성에 의한 하나됨: 성경적 교회 일치를 향한 존 오웬의 탐구 (Unity in Truth and by Voluntary Agreement: John Owen’s Quest for the Biblical Concept of the Ecclesiastical Uni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0.05
29P 미리보기
진리 안에서 그리고 자발성에 의한 하나됨: 성경적 교회 일치를 향한 존 오웬의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54권 / 121 ~ 149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호

    초록

    교회론은 평생 동안 존 오웬의 주요 관심사였음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오웬은 특별히 자신이 속한 회중파(Congregationalist) 교회를 분리주의라는(schism) 비판으로부터 변호하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그는 영국교회가 분리의 늪에 빠져 있을 뿐 아니라 ‘일치’와 ‘분리’에 대한 개념 자체가 심각하게 왜곡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오웬은 그런 교회론적 용어들에 대한 성경적 정의를 분명히 해야 할 책임을 느꼈다.
    교회의 일치에 대한 오웬의 개념은 교회 그 자체에 대한 개념과 밀접하게연결되어 있다. 교회가 비가시적 가톨릭 교회, 가시적 가톨릭 교회, 그리고 개체 교회로 구분된다면, 우리는 교회의 일치에 대해서도 뭉뚱그려서 정의할 수 없다. 실제적으로 불가시적 가톨릭 교회의 경우, 분리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리나 일치에 대한 논의 자체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오직 가시적 가톨릭 교회와 개체교회에 대해서만 분리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오웬은 근본 진리(fundamental truth)만이 가시적 가톨릭 교회의 일치에 대한 유일한 근거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어떤 교회가 이 근본 진리를 신실하게 고수하는 한, 그 교회를 분리주의라고 정죄할 수 없다고 보았다. 개체 교회는 신자들의 자발적 합의에 의하여 하나가 되었기 때문에, 강요에 의한 하나됨은 교회에서 허용될 수 없다고 보았다. 진리 안에서 그리고 자발성에 의한 하나됨이야 말로 성경이 가르치는 교회 일치라고 할 수 있다. 오웬이 이해한 이 성경적 개념에 의하면, 회중주의는 분리주의가 아니라 오히려 성경적 교회 일치를 가장 잘 구현한다.

    영어초록

    John Owen’s ecclesiology has not drawn scholars’ interests despite his great efforts for the unity of the church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Owen devoted a great amount of his energy to defending Congregationalism from the charge of schism. Owen believed not only that the church fell into schism but that the concepts of unity and schism themselves were seriously corrupted. Owen felt the need for a biblically grounded criterion determining the meaning of unity and schism.
    Owen’s concept of the ecclesiastical un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very concept of the church. Given that the church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invisible catholic church, visible catholic church, and the particular church, we cannot deal with the unity of the church in general.
    Since it is impossible to breach the unity of the invisible catholic church,the only last two churche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with regard to unity and schism.
    Owen believed that since the fundamental truth is the only ground for the unity of the visible catholic church, no church should be charged for schism as far as she faithfully defends the Christian truth. Owen also argued that the members of a particular church should be united by voluntary agreement, and force should not be used in the church for the sake of unity. These two ways, unity in truth and unity by voluntary agreement, are the only biblical way of the church unity.
    On the basis of his own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on unity and schism, Owen argued that congregationalism is not a schismatic movement but the true way to the Christian unity since his Congregational churches were firmly united in the truth and all their members enjoyed the mutual communion in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