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청교도들의 뉴잉글랜드 인디언 선교 역사 고찰 - 존 엘리엇(John Eliot)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uritan Mission History to the Indians in New England in the 17th Century: Focusing on John Elio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5.05
28P 미리보기
17세기 청교도들의 뉴잉글랜드 인디언 선교 역사 고찰 - 존 엘리엇(John Elio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94호 / 883 ~ 910페이지
    · 저자명 : 윤서태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청교도들의 뉴잉글랜드 인디언 선교 역사를 고찰하는 것이다. 1620년대부터 뉴잉글랜드로 이주하기 시작한 청교도들은 1640년대부터 존 엘리엇을 중심으로 인디언 선교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에 발맞추어 1649년 잉글랜드 의회에서는 뉴잉글랜드 인디언 선교를 위해 “뉴잉글랜드 복음 전파법”(Act for the Promoting and Propagating the Gospel of Jesus Christ in New England)이 제정되어 “뉴잉글랜드 복음 전파 협회”(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in New England)가 설립되었다. 이는 개신교 최초의 선교 단체였다. 이 협회가 엘리엇 등 뉴잉글랜드에서 사역하고 있는 선교사들을 고용하고 후원하였다. 뉴잉글랜드 인디언 선교의 절정은 엘리엇의 “기도하는 마을”(praying towns)의 조성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체적인 평가는 기도하는 마을을 조성함으로써 “기도하는 인디언”(praying Indians, 개종한 인디언)을 전통적인(비개종) 인디언들에게서 분리, 통제하고, 그들을 영국화(문명화)하려는 제국주의적, 식민주의적 선교였다는 것이었다. 저자는 이 평가에 대해 재평가한다. 첫째, 청교도 선교사들은 정복에 의한 선교가 아니라, 현지 언어의 습득, 평화적인 설교를 통한 복음 전파, 그리고 교리문답(catechism)식의 대화로 인디언들에게 접근하였다. 둘째, 기도마을 거주민들에 대한 엘리엇의 통제와 관련하여, 당시 상황 즉 새로운 이주민 인구의 유입, 범죄의 증가, 청교도적 사회공동체(“언덕 위의 도시”) 건설의 퇴색, 명예혁명(Glorious Revolution, 1688) 이후 해외의 모든 식민지에 대한 잉글랜드의 간섭 가운데서, 엘리엇은 기도마을의 경계 내에서 이주민들에 의한 세속화의 영향을 막고, 청교도적 기독교를 유지하려고 했었다. 셋째, 인디언들의 영국화(문명화) 시도는 엘리엇이 원래부터 갖고 있었던 “선교 방법론”이 아니었고, 오히려 기도하는 인디언들의 자발적인 요청에 의한 것이었다. 17세기 청교도 선교사들의 선교는 제국주의적 측면이 있지만, 그럼에도 오히려 많은 점에서 19세기 제국주의적 선교에 대한 비판적 기준점이 될 수 있고, 오늘날의 선교에도 긍정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y of the Puritan mission to native Indians in New England during the 17th century. The Puritan missions to Indians began in the 1640s, led by John Eliot. In response, in 1649, the English Parliament enacted the “Act for the Promoting and Propagating the Gospel of Jesus Christ in New England,”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in New England. It was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organization. The Society employed and supported missionaries such as John Eliot and Thomas Mayhew, who ministered in New England.
    The culmination of the New England Indian mission was Eliot’s creation of praying towns. Still, the overarching assessment of the mission is that it was an imperialistic, colonialist mission that sought to separate “praying Indians”(converted Indians) from traditional(unconverted) Indians, control them, and civilize(Anglicize) them. The author reassesses this assessment. First, the Puritan missionaries approached the Indians not by conquest but by learning the local language and spreading the gospel through peaceful preaching and catechism-style dialogue. Second, concerning Eliot’s control over the inhabitants of the praying Towns, in the context of the time - the influx of new immigrant populations, the rise of crime, the decline of the Puritan social community(“city on a hill”), and the English interference in all of its overseas colonies after the Glorious Revolution(1688) - Eliot sought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secularization by immigrants and to maintain Puritan Christianity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praying towns. Third, the attempted Anglicization(civilization) of the Indians was not part of Eliot’s original “missionary methodology” but rather the voluntary request of the praying Indians.
    In conclusion, though the Puritan missionaries’ mission to the Indians in New England in the seventeenth century was imperialistic in some aspects, it can serve as a critical reference point for imperialistic missions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have positive implications for missions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