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르틴 루터와 존 웨슬리의 신학적 접점 연구 - 칭의와 성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artin Luther and John Wesley's Theological Encroaching Point - Focusing on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8.05
37P 미리보기
마르틴 루터와 존 웨슬리의 신학적 접점 연구 - 칭의와 성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회사학회지 / 49호 / 7 ~ 43페이지
    · 저자명 : 정병식

    초록

    이 글은 웨슬리에게서 나타나는 루터 신학의 흔적을 원자료를 중심으로 추적한 연구이다. 그동안 루터와 웨슬리는 칭의와 성화에 상반된 강조를 했다고 서술해왔다. 그 결과 루터를 칭의의 신학자요, 웨슬리를 성화의 신학자라고 칭하고, 이 둘 사이에 커다란 신학적 괴리를 만들었다. 심지어 루터는 이신칭의를 발견한 공은 있으나, 성화에 대한 강조가 없다고 평가절 하하는 반면, 성화를 강조한 웨슬리를 종교개혁의 완성자로 과대평가하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루터와 웨슬리는 다름이 아니라 같음의 카테 고리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웨슬리가 말하는 사회적 성화에 대한 단초는 루터의 「선행에 관하여」(1520), 「그리스도인의 자유」(1520) 등 여러 글에 서 충분히 발견된다. 성화에 대한 루터의 언급도 「교리문답서」(1529)에 충분히 개진되어 있다. 웨슬리에게서 발견되는 칭의와 성화에 관한 신학적 출처는 그 단초가 종교개혁, 특히 마르틴 루터의 신학에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루터와 웨슬리 사이에 매개물을 찾고, 웨슬리 신학에 등장하는 루터신학적 접점을 찾는데 있다. 접점이란 만나면서 살짝 스치고 다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루터와 웨슬리의 신학적 스펙트럼이 넓고, 제한된 지면은 모든 것을 다루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칭의와 성화라는 주제로 제한했다. 사실 루터의 칭의론은, 웨슬리도 이점에서는 마찬가지이지만, 독립된 영역이 아니다. 그것은 죄, 인간, 은총 등 기독교 신학의 핵심 영역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소논문에서 는 또 다른 신학적 영역으로의 확장을 자제하고 칭의와 성화의 이해만을 다루었다. 루터와 웨슬리는 칭의와 성화에 대해 같은 틀을 기반으로 하면 서도 서로 다른 결과에 이르렀다. 루터는 칭의와 성화를 서로 다른 개념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반면 웨슬리에게는 순간적 요소와 과정적 요소의 특징이 나타나 있다. 그렇지만 칭의와 성화를 하나님의 행위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둘 모두에게 공통된 사항이다. 논문의 의의는 칭의와 성화에 대한 루터와 웨슬리 신학을 이해하는데 루터와 연관된 통전적인 시각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original writings appearing in Wesley concerning the remains of Luther's theology. Up to now the writings have pointed to the different emphasi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Luther and Wesley. As a result, a theological gap was created by labeling Luther as a theologian of justification and Wesley as a theologian of sanctification. Even to the point of saying that although Luther contributed in discovering justification but due to his lack of emphasis on sanctification he is given lesser credit; on the other hand Wesley, the one who emphasized sanctification is over-credited and seen as the one who perfected the Protestant Reformation. However, Luther and Wesley need to be studied in a similar and not in a different context and category. The basis for Wesley's social sanctification is abundantly found in Luther's Concerning Good Works(1520) and The Freedom of the Christian(1520). Concerning Luther's reference to sanctification is abundantly seen throughout his Catechism(1529). Wesley's theological references to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drawn from the Protestant Reformation, particularly in Luther's theology.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over the connection between Luther and Wesley, and also to find the encroaching point in Wesley's theology based on Luther's theology. The encroaching point denotes a slight meeting and then returning to its point of origin. However, both Luther and Wesley's theological spectrums are wide and there is a limit in trying to deal with all the aspects. As a result, the theme has been limited to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fact in Luther's justification, as in Wesley's, it is not an independent domain. It is closely related with sin, man, grace and the focal areas of Christian theology. In this short thesis it refrains from expanding to another theological domain and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lthough Luther and Wesley have similar frameworks concerning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hey drew different results. Luther does not understand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s being different concepts. On the other hand, for Wesle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nstant and gradual elements. However the common ground is found in the fact that both understand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s works of God. The point of this thesis is found in understanding of Luther and Wesley's theology concerning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nd putting forth a comprehensive outl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회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