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 듀이 윤리학의 도덕교육적 의미 (The Moral Educational Meaning of John Dewey's Eth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0.06
40P 미리보기
존 듀이 윤리학의 도덕교육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倫理硏究 / 1권 / 77호 / 217 ~ 256페이지
    · 저자명 : 박종모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존 듀이 윤리학의 성립근거를 자연주의적 인간관과 가치관에 의하여 규명하여보고, 도덕적 선과 성장 및 공동선의 문제를 살펴보며, 끝으로 듀이 윤리학이 가지고 있는 도덕교육적 의의를 밝혀보는데 있다.
    듀이의 윤리학은 자연주의적 경험론의 입장에서 인간본성을 파악하고, 충동, 습관 그리고 지성과 같은 인간본성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윤리적 원리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양자택일이 가능한 모든 상황에서 관심과 욕구가 가치발생의 일차적 조건임을 인정하지만, 동시에 평가하는 행위를 통해 가치가 발생한다고 보아 가치에 있어서 지성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
    인간본성과 가치개념을 바탕으로 한 듀이의 도덕적 선은 전통윤리학에서 강조하는 보편적이고 궁극적인 선의 개념을 거부하며, 다분히 상대적이며 가변적이다. 그러나 상대적이고 가변적인 특성들은 성장이라는 전체적 목적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서 각각이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독특한 선이다. 이러한 도덕적 선은 결코 고립되지 않고 개인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사회성을 획득하며, 공동선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듀이의 윤리학은 그 성립조건과 전개과정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적 의의를 제공해줄 수 있다. 첫째, 듀이는 도덕교육에서 지적, 정적, 의지적 측면의 조화를 강조하는 통합적 인격교육론을 제시하고 있다. 듀이는 도덕교육의 목표를 바람직한 인격형성으로 보고 인간본성의 구성요소인 충동, 습관과 지성 등이 적절히 통합될 때 온전한 인격이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 특히 전통윤리학에서 인간의 본성을 이성으로 파악했던 것과는 달리 그 동안 무시되어왔던 충동과 습관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충동의 조절과 좋은 습관의 형성의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는 지성의 주도적 능력을 인정하면서도 도덕적 실천력을 담보하기 위해 도덕적 의무를 강조한다. 그는 현실에 근거한 도덕적 의무가 도덕적 행동과 정서의 일종인 도덕적 민감성을 제공해주어 실천력을 강화해준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듀이는 경험의 연속성과 상호작용주의를 기반으로 전통적 도덕교육에서 드러난 도덕에 대한 이분법적 분열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다. 도덕성은 행위와 인격, 지식과 행동, 안과 밖의 연속성을 통해 건전한 자아를 형성해 갈 수 있도록 연속성과 계속성을 지니도록 해야 상호 조화를 통해 통합적 인격을 형성시킬 수 있다.
    끝으로 듀이의 윤리학은 도덕교육에서 계속적인 성장의 중요성을 인식시킨다. 그는 개인의 성장과 아울러 그러한 성장이 가능한 도덕적인 사회에 관심을 가질 것을 주문한다. 도덕교육의 개인적인 목표가 바람직한 인격의 형성이라면, 사회적인 성장의 최선의 경지는 바로 민주주의 사회이다. 그는 도덕교육에서 자유와 평등 같은 민주주의적 가치나 결정방식을 지도하며, 건전한 사회에 대한 열망을 가지도록 역설하는 사회윤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듀이는 도덕의 문제를 사실의 문제로 접근하나 도덕의 문제에서 사실과 가치는 분리될 수 없는 하나로 보고 있다. 듀이는 범교과적으로 사실과 가치가 일치된 도덕교육을 원했다. 그러나 우리의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에서 범교과적 도덕교육을 기대하기는 어운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 도덕교과를 통한 도덕교육이야말로 듀이가 원했던 사실로서의 도덕교육을 의미 있게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at examining the base of Dewy's ethics through naturalistic point of view about human and searching the problem about moral good, growth and common good and finally finding out the meaning of moral and educational principles which Dewy's ethics has.
    Dewy's ethics grasp human nature in the stance of naturalistic empiricism' view and draw ethical principles from the interaction of human nature such as instinct, habit and intelligence. Although it admits that the interest and need is the first condition of value-occurrence in every situations available for the alternative, Dewy's ethics emphasizes the role of intelligence in value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value can be created by the behavior of assesment. The moral good of Dewy based on human nature and concept about the value is relative and changeable rejecting the concept of universal and ultimate good which traditional ethics emphasizes. However, relative and changeable features have the unique good which has sense and value respectively as a course toward the ultimate end--growth. This kind of moral good is not isolated and serves to achieve sociality and a status as common good during the interactions of an individual and his or her society.
    When reflecting on its developing process and the conditions for its existence, Dewy's ethics can be said to offer us with the principles of moral educationa as follows. First, Dewy presents a comprehensive theory on personality education laying emphasis on the harmony of three aspects of moral education -- intelligence, emotion, and will. Viewing the objective of moral education as forming a desirable personality, Dewy considers that a whole personality can not be formed until its constituents such as urge, habit, intelligence, and etc are properly integrated. Above all, contrary to the traditional ethics where human nature belongs to reason, he appreciates the significance of urge and habit, arguing that our urge should be controlled over and a good habit formed through moral education. Although he concedes the intelligence's initiative ability, he values moral obligation to guarantee the practice of morality. He considers that the moral obligation based on reality reinforces what is called moral viability because it brings about a moral behavior and moral sensitivity--a kind of emotion.
    Dewy ma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oral concepts. Viewing the issue of morality not as a perceptual one but as an actual one, Dewy was not concerned with the subject dealing with other things than facts. However, we can hardly expect what is called a curriculum-beyond moral education under the entrance exam-focused educational environments. Therefore, the status quo moral subject is the only subject through which we can put into meaningful practice such a reality-based moral education as is examined and initiated by Dew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倫理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