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노년기 민족귀환이주민의 건강위기: 경기도 A지역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Health Crisis of Middle-Aged and Elderly Ethnic Return Migrants: Focusing on Korean-Chinese in A Area of Gyeonggi-do)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1.08
40P 미리보기
중노년기 민족귀환이주민의 건강위기: 경기도 A지역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와 평화 / 15권 / 2호 / 225 ~ 264페이지
    · 저자명 : 이창호, 김지희, 정수남, 조윤*, 김유미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A지역을 중심으로 1980년대 중후반부터 한국에 이주하기 시작하여 현재 중노년기에 접어들었거나 2000년대 중반 동포 관련 법 제도 개선 이후 노년기에 국내에 입국한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의 건강상태를 의학적 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이들이 겪은 신체적, 정신적 고통의 생애사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발생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러한 요인들이 이들의 생존과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했다. 94명을 대상으로 한 의학적 조사결과 44.7%가 혈관경직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고령일수록 심한 우울감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21.8%가 불안장애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가구소득이 적을수록 우울감, 불안감, 혈압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중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순으로 9명을 선별하여 심층인터뷰 조사를 한 결과, 이들은 1990년대 이후 젊은 나이에 결혼이민자와 산업연수생 등으로 한국에 민족귀환 이주한 사례로 이주 이후 경제적 빈곤의 지속, 법과 제도의 미비로 인해 건강이 점차 취약해지는 ‘건강한 이주자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독특한 말투나 출신 지역에 대한 차별, 다문화가정에 대한 편견 및 낙인화가 지속되면서 현재까지도 소속감과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 한편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재외동포 관련 법 제도가 개선되면서 노년의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이 증가하고 있으며 ‘병든 이주자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건강 역시 거주국의 편견과 차별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노년기에 들어선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은 향후 종족차별에 더해진 연령차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이 점차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주민의 고령화에 따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health status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Chinese migrants in A area who started migrating to Korea in the mid-late 1980s and migrated Korea in the mid-2000s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overseas Koreans-related legal system. Based on this, we tried to analyze how experiential factors that occur in the life course of migrants affect their survival and health by examining the nature of structural oppression and violence inherent in th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they experienced. As a result of the medical survey, 44.7% of Korean-Chinese migrants in A area had abnormalities in arterial stiff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ental health survey, the older the person, the more severe the symptoms of depression, and 21.8% of them showed the level of anxiety disorder.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lower the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depression, anxiety, and blood pressure. In an in-depth interview, the ‘healthy migrant effect’ was found in that Korean-Chinese ethnic returned to Korea as marriage immigrants and industrial trainees at a young age after the 1990s, and their health gradually deteriorated due to the continued low economic status and inadequacies in laws and systems. In addition, psychological pain due to confusion in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is increasing as they continue to be discriminated against according to their unique tone of voice, region of origin, and prejudice and stigma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Meanwhile, since the mid-2000s, as the legal system related to overseas Koreans has been improved, the number of elderly Korean-Chinese migrants has been increasing, and the ‘sick migrant effect’ is emerging. However, their health is also likely to deteriorate over time due to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the host country. In conclusion,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Chinese migrants may experience ageism in addition to ethnic discrimination in the future, and this may lead to their health becoming increasingly vulner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문화와 평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