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타종교문화를 대하는 방법론으로써 상호문화화 - 코자(Xhosa)족 조상숭배를 중심으로 (Intercultural Approach Toward Xhosa Ancestor Matter : Focusing on Ancestor Worship of the Xhos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2.09
38P 미리보기
타종교문화를 대하는 방법론으로써 상호문화화 - 코자(Xhosa)족 조상숭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복음과 선교 / 59권 / 3호 / 11 ~ 48페이지
    · 저자명 : 권효상

    초록

    타 종교문화와의 대화 방법은 지금까지 주로 Allan Race의 구분법을 -종교다원주의, 포괄주의, 그리고 배타주의-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전통적인 구분법은 각각의 역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역기능들을 보완하는 상호문화화 대화(intercultural communication)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상호문화화 가 그 자체로서는 타 종교대화와의 대화 방법론(methodology)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호 문화화를 타종교 문화와의 대화를 위한 방법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학적인 작업을 하려고 한다. 특히, 개혁교회에서 혹은 범복음주의 계열의 교회들에서 신학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호 문화화를 신학적으로 재배열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본 논고의 주목적이다. 더불어서 남아공의 코자 (Xhosa)족의 집단 거주지인 카일리쳐(Khayelitsha)의 기독교인들 가운데 만연한 조상숭배 문제와 상호문화적 대화를 시도했다.
    본고는 지금까지의 타 종교문화와의 대화의 방법들이 가진 서구신학의 맹점인 사변적이고 주체 중심적인 방식을 뛰어넘는 ‘praxis of with’의 대화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호문화화를 선교신학적으로 해석하는 가운데 서구신학에 기대지 않고, 오히려 동방신학이 가진 perichoresis의 풍부한 개념을 방법론으로 삼았다. 이 작업을 통해 상호문화화 개념이 개혁교회 안에서 종교다원주의, 포괄주의, 그리고 배타주의의 역기능을 넘어서는 타종교문화와의 대화 방법론이라는 것을 신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논고는 하나의 대안적 대화의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실제로 아프리카 카일리처라는 특정 지역에서 그리고 조상숭배라는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샘플링을 통해 다른 지역에서 다른 주제를 가지고도 타종교문화와 상호문화적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행동(praxis) 으로서의 대화가 - 그 목적을 상호 배움에 한정한다는 조건 하에서 - 대화를 위한 서로 간의 관심을 다루는 상호공간(mutual space)을 열 수 있고 또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호대화의 목적이 단지 상호 배움이 아니라, 종교적인 회심(conversion)을 고려하는 것이라면, 상호공간에서는 서로 듣고 배우는 것 이상의 종교적 회심을 기대해야 한다. 본 논고는 조상숭배 문제를 주제로 참된 상호문화적 대화가 성육신적인 삶 즉, 섬김(devotion)이라는 praxis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 나가는 과정이다.

    영어초록

    As for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Allan Race - Religious pluralism, inclusivism, and exclusivism - has been mainly used so far. However, this traditional distinction has its dysfunction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introduce a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ethod that complements these dysfunctions. Interculturation itself cannot be said to be a methodology for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Therefore, I intend to do theological work so that interculturation can be used as a methodology for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In particula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heologically rearrange interculturation so that it can be safely used theologically in the Reformed church to which the author belongs or in pan-evangelical churches. In addition, I attempted to engage in intercultural dialogue with the issue of ancestor worship prevalent among Christians in Khayelitsha, a group settlement of the Xhosa people of South Africa.
    I would like to propose a dialogue method of ‘praxis of with’ that goes beyond the speculative and subject-centered method, which is a blind spot in Western theology, that has been present in the methods of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In interpreting interculturation in mission theology, the author did not rely on Western theology but used the rich concept of perichoresis in Eastern theology as a methodology. Through this work, it is expected to prove theologically that the concept of interculturation is a valid method of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that goes beyond the dysfunctions of religious pluralism, inclusivism, and exclusivism within the Reformed Church. In particular, this paper does not stop at proposing an alternative dialogue methodology, but suggests a way to have conversations in a specific area called Khayelitsha in Africa and with a specific topic of ancestor worship. Through this sampling, it is expected that dialogue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will be possible even with different topics in different regions.
    I agree that dialogue as praxis can open and achieve a mutual space of dealing with each other's interests for dialogue. However, if the purpose of inter-communication is to consider religious conversion rather than just mutual learning, then in the mutual space, religious conversion should be expected more than listening and learning from each other. This thesis is a process of revealing that true intercultural dialogue on the subject of ancestor worship is possible through the praxis of the incarnate life, that is, devo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