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초기 도시가족과 兒童 인식의 패러다임 - 光武 7년 漢城府 戶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rban Family and Paradigm of Child Awareness in Early Modern Times - With focus on the Family Register at the Hanseong-bu in the 7th year(1903) of the Kwang-mu Era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5.10
32P 미리보기
근대 초기 도시가족과 兒童 인식의 패러다임 - 光武 7년 漢城府 戶籍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1호 / 163 ~ 194페이지
    · 저자명 : 김현진

    초록

    본고는 광무 7년 한성부 호적에 기재되어 있는 15세 이하의 호주 자녀를 대상으로 하여 근대 초기 도시가족 내에서 나타난 아동 인식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광무 7년 한성부 호적의 전체 아동은 이전 시기 그리고 동시기 다른지역과 비교해서 기재가 충실히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한성부 호적에 기재된 호주 아동이 가족 내에서 어떠한 위치와 성격으로 나타나고 있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아동을 동거친속 기재순위에 따라서 유형화하였으며, 아동기재순위의 유형 기준은 아동의 성별 그리고 동거친족과의 선후 관계 속에서 파악하였다.
    아동기재순위에 따른 전체 유형에서 가족 내 아동의 위치는 남성과 친족 중심의 관계 속에서 파악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유형 속의 아동은 전자의 관점에서 벗어나 다르게 인식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아동기재순위에 따른 아동인식의 차이점을 호주의 계층문제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호적에 기재된 호주의 다양한 정보 (연령, 직업, 가택, 가족구성 등)를 활용하여 아동기재순위 유형과 연결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을 남성과 친족 중심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었던 호주는 당시에 상위의 사회적 위치와 경제적 능력을 갖춘 50대 이상으로, 대가족 형태의 확대가족을 이룬 기득권 계층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을 전자의 관점에서 벗어나 다르게 이해하고 있었던 호주는 전자의 호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적 위치와 경제적 능력을 갖춘 성내위주의 30~40대 일반 계층으로, 부모+미혼자녀 중심의 핵가족을 이루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 of child awareness manifested within the urban family in the early modern times targeting the children under 15 of a family head who were entered in the family register at the Hanseong‑bu in the 7th year of the Kwang‑mu era.
    The entry of the whole children in the family register at the Hanseong‑bu in the 7th year of the Kwang‑mu Era was found to be faithfully done in comparison with other regions in the previous & same period. Hereupon, this study, in a bid to grasp in what position and character a family head's children, who were entered in the Hanseong‑bu family register, were expressed within their family, typed children according to the entry ranking of cohabiting relatives, and grasped the typology standard of children entry ranking based on children's gender, and in order relations with cohabiting rela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on of children in a family was represented as high from men & relatives‑centered traditional viewpoints in overall topology consequent on children entry ranking.
    However, some children in partial topology were perceived as different, away from the traditional viewpoints mentioned in the former. Accordingly, in an effort to concretely grasp the difference in child awareness consequent on child entry ranking in relation to a family head's issue of social stratum, this study looked into it by establishing a link between the difference and child entry ranking topology through the utilization of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age,occupation, house, and family formation, etc.) of a family head entered in the family register.
    As a result, the heads of a family, who understood children from men & relatives‑centered traditional viewpoints, were found to the people in their 50s, and to be equipped with the upper social standing and economic ability at that time, emerging intensively from the vested rights stratum who achieved an extended family in the form of big family, whereas the head of a family, who understood a chil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by escaping from a traditional viewpoint, was found to be the general stratum in their 30~40s having the social standing and economic ability enough to afford to live within the city, forming a parents & unmarried children‑centered nuclear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