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르도스지역 몽골족 <주충무(酒盅舞)>에 내재된 의미 연구 (The study of Juchungmu(dance) in Ordos region Mongolian peopl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2.02
17P 미리보기
오르도스지역 몽골족 &lt;주충무(酒盅舞)&gt;에 내재된 의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18권 / 1호 / 39 ~ 55페이지
    · 저자명 : 신명숙

    초록

    중국 몽골족의 주충무는 오르도스(ordos)지역의 남성들이 양손에 잔(혹은 밥그릇)을 들고 추는 춤이다. 오르도스지역은 징기스칸의 업적과 추모를 위해 쿠빌라이 칸 (Khubilai Khan)이 만든 특수한 지역이다. 전 지역 몽골족 대표들을 선출해서 이곳으로 이주시켰고 이들은 오로지 징기스칸의 제사를 전담하는 특수 계층으로 1950년대까지 약 700여년 간 지속되었다. 이 지역에서 주충무가 전승한다. 일반 학자들은 이 춤을 연회석상이나 잔치상에서 볼 수 있어 오락적 기능으로 가치를 두었지만, 무용의 생명력의 관점에서 본다면 오락성 가치 외에 또 다른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무용수가 사용하는 소품 잔의 의미를 찾아봤다. 잔은 음식을 담아 생명을 키우며 풍족과 행복을 상징한다. 그리고 몽골족의 선조였던 돌궐족의 석상에도 손에 잔을 들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사는 잔을 올리는데 부터 시작한다. 이런 행위는 선조의 공경과 존경 그리고 추모를 의미하는 절차로 중요한 의례이다. 몽골족의 주충무의 잔을 들고 춤을 추는 것은 징기스칸의 업적을 추모하고 몽골족의 우수함을 잊지 않기 위해 춤의 방식을 선택한 것이다. 그래서 지속적인 계승이 가능한 것이다. 오늘날까지 주충무가 전승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Juchungmoo of the Mongolian people in China is a dance performed by men in the Ordos region with glasses (or rice bowls) in both hands. The Ordos area is a special area created by Khubilai Khan for Chingiz Khan’s achievements and commemorations.
    Representatives of the Mongolians from all regions were elected and moved here, and they were only special classes dedicated to the rituals of Chingiz Khan and lasted until the 1950s. Juchungmoo is handed down in this area. General scholars valued this dance as an entertainment function because it could be seen at banquet tables and feasts, but thought it had another meaning in addition to the value of entertai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itality of dance. So I looked up the meaning of the glass that the dancer held and danced with. The glass contains food to raise life and symbolizes abundance and happiness. And he also holds a glass on the stone statue of the Türk peoples, the ancestors of the Mongolians. In general, ancestral rites begin with raising glasses. This behavior is an important ritual as a procedure that means respect and memory of ancestors. Therefore, dancing with the glasses of the Mongolian Juchungmu was a choice of dance to commemorate Chingiz Khan’s achievements and not forget the excellence of the Mongolian people, and it was considered that Juchungmu could be passed down to this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