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에 관한 고찰- 한족학생의 수용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Han Chinese(漢族) Students’ at Chinese-Korean Schoo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5.05
27P 미리보기
중국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에 관한 고찰- 한족학생의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55호 / 169 ~ 195페이지
    · 저자명 : 안병삼

    초록

    본 논문은 현재 중국 조선족학교가 가장 심각하게 직면한 문제 중 하나인 학생 수 감소 극복을 위해 많은 조선족학교에서 선택한 ‘한족학생’의 수용에 관해 고찰하였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한족학생’의 수용에 대해 가장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교장선생님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중국 조선족학교의 ‘한족학생’수용에 관해 알아보았고, 조선족학교 발전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현재 중국 동북3성에 자리 잡았던 조선족학교는 조선족들의 해외 이주, 중국 내 대도시로의 이주, 출생률 감소, 조선족의 한족학교 입학 등의 원인으로 급격히 무너져 가고 있다. 조선족학교의 ‘한족학생’의 수용은 2000년대를 전후하여 학생 수의 급감에 따라 학교 유지 차원에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교장선생님의 결정으로 시작되었고 한국어를 하나 더 익히면 장차 취업에 유리하다는 홍보를 통해 한족의 학부모들을 설득시켰다. 이러한 현상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은 첫째, 조선족학교에서 유치원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둘째, 학교 생존과 관련하여 ‘한족학생’의 수용 문제는 전적으로 교장선생님의 의견이 절대적이라는 사실이다. 셋째, 한족학생을 고려하여 학교 수업운영의 변화를 가져왔다. 넷째, 초기 한족학생의 학부모 중 한쪽은 조선족이다. 그럼, 한족학생들이 조선족학교를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취업을 위한 조선족학교 선택이 주요한 원인이다. 둘째, 대학 진학을 위해 조선족학교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셋째, 학습이외의 다양한 교육을 받기 위해 선택한 경우이다. 넷째, 당시 중국 정부가 2008년 북경올림픽을 앞두고 외국어 교육에 총력을 기울인 것도 하나의 원인이다. 조선족학교에 한족학생이 점점 증가함에 문화충돌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다. 첫째, 선생님의 한족학생 지도문제이다. 둘째, 학교생활의 부적응이다. 셋째, 학교의 수준이 떨어진다. 여기서 본 논문은 조선족학교의 생존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족학교에 재학하는 조선족학생의 전학을 유도하는 것이다. 둘째, 조선족학교에 대한 집중적 투자이다. 셋째, 조선족이 이주한 대도시에 조선족학교를 설립하도록 조선족사회와 한국정부가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한국으로 이주 온 수 많은 조선족을 위해 한국 내 조선족학교를 설립하는 것이다. 다섯째, 한족학생의 수를 제한하여 민족특색을 잃지 말아야 한다.
    종합적으로, 조선족학교는 이미 학생 수 부족을 메우고 학교의 생존을 위해 ‘한족학생’의 수용을 결정하였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 한 가지는 조선족학교가 한족학생을 받는다고 모두 생존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지금 조선족학교는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어떠한 생존 방안이라도 빨리 결정하고 실행하지 않는다면 영원히 사라지고 말게 된다. 지금이 소위 말하는 조선족학교의 ‘생존 골든타임’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arted as an endeavor to preserve Korean culture property through the discovery and analysis about acceptance Han Chinese(漢族) students of Chinese-Korean School in the Chinese-Korean residence, of which population is quickly disappearing.
    Acceptance of the Han Chinese(漢族) students was begun in the 2000s after. Has the characteristic can be seen in this phenomenon. First, reinforce kindergarten education in Chinese-Korean School. Second, Acceptance Han Chinese(漢族) students of Chinese-Korean School is the fact that absolutely totally turns on opinions of the Principal. Third, Considering the Han Chinese(漢族) students brought a change of school operations. Fourth, One of Han Chinese(漢族) students’ parents is a Korean-Chinese in the early.
    Han Chinese(漢族) students, what is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Chinese-Korean School? First,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can look for a job after graduation. Second, They selected the Chinese-Korean Schools for university. Third, Because they want to receive training in a variety of other learning. Fourth,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emphasized by the Chinese government.
    In conclusion, Chinese-Korean School has decided to accept the Han Chinese(漢族) students for the survival of the school. But Even in Chinese- Korean School that acceptance Han Chinese(漢族) students, One thing is clear that Chinese-Korean School that not all will surv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