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조선족의 영웅 서사적 특징과 역사적 기억 (Hero - narrative character and historical memory of the Korean - Chines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6.12
33P 미리보기
중국조선족의 영웅 서사적 특징과 역사적 기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78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최향

    초록

    중국조선족은 한민족 혈통에 중국 국적을 가진 경계인으로 그들의 삶에 대한 기억을 형상화한 문학도 그 범주가 불명확하다. 그러할수록 조선족 학자들은 조선족 문학의 특징을 발굴하여 중국 내외에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였다. 본고 또한 이와 같은 의지의 표출로 중국조선족의 서사문학, 그 중에서도 그동안 개별 문학 연구 영역으로 다뤄지지 못하였던 조선족 영웅 서사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중국신시기(新時期)에 집중적으로 정리되고 창작되어 활자화된 영웅 서사 중 집단적 이념의 실현을 위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 영웅의 행적을 서사화한 조선족소설과 연변 지역의 설화를 주요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살펴본 데 의하면 조선족 영웅 서사는 중국 17년(1949-1966) 문학 시기를 비롯한 1950~60년대 북한 문학, 한국에서 전래된 실존 영웅 서사에서 표출된 영웅인물의 이상화 특징보다 중국 80년대 중·후반의 영웅 서사적 특징을 더 많이 보여주었다. 그 중 항일설화, 지명설화에 녹아든 영웅 서사는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인물의 이상화와 획일화된 서사구조 및 상세한 묘사적 서술로 인해 고리타분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장편으로 된 한국 전래 설화와 역사 소설로 구성된 영웅 서사는 영웅의 범인화·전기화와 함께 조선족의 역사, 풍속, 인정세태 등에 대한 사실과 허구를 결합시켜 서사를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문체에서도 다양성을 보였다.
    한편 조선족 영웅 서사를 통해 형성된 한민족의 집단적 기억과 조선족의 역사적 기억은 조선족 공동체 내에서 잘 전승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역사의식을 비롯한 민족문화의 전승은 학교와 가정교육,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의 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중국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고 한국 문화가 대량 유입되면서 조선족 청소년들은 대체로 ‘중국화’, ‘한국화’ 또는 ‘서구화’로 나아가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 이는 조선족 문화를 전승, 발전시키기 위한 조선족 공동체의 과감한 추진력과 각 지역 간의 소통이 결핍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역사적 기억을불러일으키는 서사가 부단히 재구성되고 담론화되지 못한 요인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조선족 특유의 서사의 재구성을 통한 그들만의 역사적 기억의 연속이 전제되어야 한민족 문학도 참된 의미를 지니게 된다.

    영어초록

    Korean-Chinese for the memories of their lives as a Border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Nationals so their literature category also unclear to us. Korean-Chinese scholar are focusing their efforts on exploring the character of Korean-Chinese literature for raise awareness both within and outside China. Soon as an expression of such determination this manuscript pay attention Korean-Chinese narrative literature, especially the character of Korean-Chinese hero-narrative that had not treated in as Individual literary areas.
    Make a choice Among the hero-narrative that creative and organized for text type in China modern, especially Yanbian Area folktale and novels were selected by the main research text. In this text showed hero's rare movements for the realization of a group ideological. More than in the hero-narrative introduced in China’s 17 (1966-1949) years literature, North Korean literary in 1950s and 60s, and South Korean tradition tale, the hero’s idealization character intensively showed in mid or late’ 80s. The hero-narrative which are dissolved in the anti-Japanese tale, a tale of them. The hero-narrative which are dissolved in the anti-Japanese tale and name tale, any tale of them standardized and idealization just the way they don't hang out dur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by detailed descriptive narrative. Meanwhile, the novel consists of a Korean folk tales and history showed character of commonness and electrification, with ethnic, folk custom, and way of the world, andenrich the narrative through combine the facts and fiction.
    Meanwhile, the memory of the Korean and Korean-Chinese historical memory were composed by Korean-Chinese hero-narrative. But they can't played well with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The historical awareness, including the transmission of national cultures, need schools and social education, upbringing,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However, developing Chinese economy and growing influx of Korean culture Korean-Chinese teenagers usually grew to 'becoming Korean', 'becoming Chinese', or 'becoming more westernized'. It’s because lack of decisive driving force and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area of Korean-Chinese. But bigger is narrative is not constantly reconstructed and discoursed. Korean literature to be true only based on series of historical memory made by Korean-Chinese’ own reconstruct ion of the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