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수교 이후 중국조선족 시문학의 전개 양상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Poems after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5.09
20P 미리보기
한중수교 이후 중국조선족 시문학의 전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62호 / 125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정훈, 김영미

    초록

    2000년대 들어 중국조선족 시문학은 개혁개방 정책과 ‘자본주의’ 한국과의 교류가 본격화되면서 전혀 다른 상황을 맞이한다. 더욱 가속화된 산업화 및 도시화 진행으로 인한 민족공동체의 해체, 시장경제 체제로의 전환, 다수 조선족의 국내외 이주 등의 급격한 상황 변화로 기존의 사회주의 체제하에서의 안정되고 다소 여유로웠던 창작활동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창작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 조선족 시문학의 대응은 초기에는 고국으로서의 한국을 재인식하며 민족동질성을 환기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점차 코리아 드림과 대규모 이농ㆍ이주로 인해 중국조선족 사회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회현상과 문제점을 작품에 반영한다.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조선족이 처한 이중적 소외 상황을 직시하고 그 가운데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찾아 나가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들이다. 현재는 ‘성 밖’에 소외된 존재로서의 조선족에 대한 인식에 집중하고 있지만, 협소한 민족의 틀을 벗어나 같은 ‘성 밖’에 머무는 이들에게까지 시야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는, 한국이나 중국 내 연안 대도시의 화려한 삶에 대한 동경과 그곳에서 충족되지 않은 욕망에 대한 아쉬움과 불만을 토로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들이 살아왔고 현재도 살고 있는 곳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면서 자존감 회복과 함께 남북 분단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작품들이다.

    영어초록

    The Chinese-Koreans entered a new era called 'the second diaspora' after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1992.8) with the capitalism of Korea. The Chinese-Korean society maintains a stable agricultural ethnic community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of China. But soon the Chinese-Koreans was faced with two difficult problems, the advent of capitalism and the reestablishment of ties with Korea. The Chinese-Korean poetry faithfully embodies the confusion after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ir in the works.
    After the reinstatement of mutual exchange between the two nations, the predominant theme of Chinese-Korean literature was about admitting Korea as home nation of Chinese-Koreans and cherishing memories. This type of poetry, which can be found easily within the elder poets who left Korea as a young child, focus on rebuilding the personal bond with their home country. It can thus, be said that reminiscences are the very foundation of these works.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of poets focus on finding homogeneity as Koreans through ethnic spirits that can be seen in people's daily life, the hardship of Chinese-Koreans, and their reinstallation of the history of emigration. Also it depicts the destruction of Chinese-Korean society caused by rural exodus and diaspora.
    Recently, the Chinese-Korean presents many works that are dealing with a sense of alienation and resignation of the reality. Furthermore, they presents a lot of work of improving the meaning of their residence actively not just identifying their figure as a marginalized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