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족 학계의 역사연구 성과와 과제 - 조선족 디아스포라와 一史兩用의 문제를 중심으로 - (Korean-Chinese Historical Research Achievements and Tasks - Focusing on the Korean-Chinese Diaspora and the Problem of One History, Two-Use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조선족 학계의 역사연구 성과와 과제 - 조선족 디아스포라와 一史兩用의 문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3호 / 462 ~ 495페이지
    · 저자명 : 김주용

    초록

    1945년 해방 이후 만주와 중국 관내에 거류하고 있는 한인들의 귀환 문제는 연합국과 중국 국민정부가 풀어야 할 숙제이자 우리에게는 민족적 사명이었다. 중국 동북지역 거주 한인들은 최대 220만명 정도였다. 당시 미귀환 한인들은 중국 공민 지위를 획득하였으며, ‘조선족’으로서 삶을 영위하였다. 조선족역사연구는 1949년 연변대가 창립되면서부터 항일투쟁사, 디아스포라, 민족적 정체성 문제 등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개혁개방과 1992년 한중수교는 조선족 학자들의 연구 확장성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족 학자들의 연구 가운데 특징적인 부분은 조선족의 연원 문제를 한국과는 달리 17세기 중후반으로 끌어올렸다. 또한 항일투쟁사를 一史兩用의 틀 안에서 다루고자 했다. 이러한 시각은 한국의 독립운동사와 중첩되기도 한다. 이 문제는 일국사와 일민족사의 관점을 초월한 시각에서 다루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향후 조선족사 연구의 외연을 일상생활사 등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issue of the return of Koreans residing in Manchuria and China after liberation in 1945 was a task to be solved by the Allied Powers and the Chinese national government and a national mission for us. The number of Koreans living in northeast China was at most 2.2 million. At that time, non-returned Koreans acquired the status of Chinese citizens and led their lives as ‘Korean-Chinese’.
    Since the founding of Yanbian University in 1949, the study of Korean-Chinese history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history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the diaspora, and issues of national identity. In particular, reform and opening-up and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research expandability of Korean-Chinese scholars.
    A characteristic part of the studies of Korean-Chinese scholars is that they raised the question of the origin of the Korean-Chinese to the mid-late 17th century, unlike Korea. Also, I tried to deal with the history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within the framework of 一史兩用. This perspective also overlaps with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issue must be dealt with from a perspective that transcends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country and the history of the countr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to the history of daily lif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