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족 민족음악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연구-산재(散在)지역 조선족학교를 중심으로- (Current Study of Korean-Chinese Ethnic Music Education and Development Research)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4.08
34P 미리보기
조선족 민족음악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연구-산재(散在)지역 조선족학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8권 / 2호 / 195 ~ 228페이지
    · 저자명 : 김성희

    초록

    개혁개방 이후 중국사회의 체제개혁과 구조조정이 심화되면서 조선족들은 대련, 청도뿐만 아니라 북경, 상해, 천진 등 대도시로 대거 이동하고 있다. 조선족 사회의 대량적인 인구이동은 이미 연해지역이나 관내도시에 새로운 코리아 타운을 형성해가고 있으며 조선족 집거지 산재지역을 형성하였다. 이런 대도시에 살면 개인이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나 자녀들이 다닐 수 있는 조선족학교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북경의 경우만 해도 조선족들이 10만 명을 넘어서고 있지만, 조선족학교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산재지역 조선족 음악교육의 도약적인 발전을 위해 실제 그 집거지역의 학교교육에서 나타난 문제점 고찰하고, 사회단체 군중예술문화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하여 아래와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민족문화와 민족의식과 관련한 교육은 교본과정, 종합 실천 활동, 과외활동 등 여러 가지 형태와 형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 현직 교사들의 연수기회를 대폭 확대하여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제도화하여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민족예술 교과에서도 민족성격을 띤 내용을 되도록 잘 선정하여 학생들이 민족문화를 더 많이 이해하고 더욱 흥미를 갖고 이어받게 해야 한다. 전통음악을 쉽게 가르칠 수 있도록 교사를 위한 다양한 교육 자료를 제작하여 보급하여야 하며, 마찬가지로 학생들에게도 청소년의 정서와 수준이 고려된 다양한 시청각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음악교육자료의 개발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체계적인 전통음악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하고,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각종 음악교재가 개발되어야 하며, 학교 교구 설비 기준에 일정 비율의 전통악기 보유가 포함되도록 정책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넷째, 산재지역의 조선족교육에 새로운 활기를 부여해야 한다. 현재 청도에는 중국 연해도시에서 유일한 조선족 소학교가 2개 있지만 청도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도 우리 조선족 학생들이 기타 소수민족 학생들이 받는 혜택을 향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서 목표교육과 직업교육 등 다양한 형태의 미래교육 토대를 마련해나가야 한다. 빠른 시일 내에 산재지역(청도 조선족학교 등 많은 사립학교들은 공교육행렬에 편입되지 않음)도 전일제 의무교육 행렬에 편입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조선족 민족교육은 민족전통문화를 보존, 발전하는 민족생존과 연결된 문제로 민족성원들로 하여금 민족교육 발전에 힘을 기울이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산재지역 조선족은 정부의 지도하에 민족화합에 힘쓰고 정치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문화, 문명민족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이 연구가 중국사회에서 자체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는데 도움을 주는 조선족 문화예술교육의 각종 문제점 해결을 위해 어떠한 모델이 가장 적합한지 스스로 자문하는 기회를 부여하고, 향후 중국 조선족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전초작업을 진행하는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After the reformation and the Opendoor policy, the Chinese society experienced serious social changes, and Korean nationals moved toward large cities, such as Dalian, Qingdao as well as Beijing, Shanghai, and Tienjin. This large size population movement formed new Korea towns in many cities and regions. Even though the big cities have more chances for individuals to succeed and to enjoy better life, their children have less opportunity to receive Korean education. For an example of Beijing, there is no Korean school although more than 100,000 Korean-Chinese are living. Therefore, we need to urgently find the ways to reform and to develop our ethnic education, other than any other problems. This research not only points out the problems shown in the school education in the settlement area, but also suggested directions for social group to go forwar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music education.
    First, education related to ethnic culture and identity should be processed in various forms, such as curriculum, multi-participatory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order to do this, more training and updating about Korean traditional art and culture should be provided to the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schools. Also, by institutionalizing training programs, th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institutional strategy to teachers and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the teachers.
    Second, by selecting proper contents with ethnic nature and putting them in textbooks, we need to help student to understand Korea better and to be mor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We need more supports and production of various forms of class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lass materials for easy teach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 teachers, and new audio-visual materials with various themes and genres, well explained in the student level, should be created. Also, scholars should vibrantly do new research on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Third, the sources for music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Most of all, systematized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musical materials for the class teaching should be developed; a policy that requires each school to prepare som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is needed.
    Fourth, Korean nationality education in mainland China excepting Yanbian need refreshment. Ethnic education is a chain that connects and transmits culture. Currently, there are only two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Qingdao. These schools assigned a project for new ethnic education. We must lay the foundation of basic education firmly and set an educational system with new standard and scale for Korean nationality schools. In many other places, we must let our students to receive benefits; further, we must prepared basis for future education that shows various forms, such as goal education or job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schools in mainland China excepting Yanbian must be listed on the full-time compulsory education. As stated earlier, many schools, including Qingdao Korean Nationality school, are not officially registered as public education.
    Fifth, social members in Korean-Chinese community must put efforts in developing ethnic education because it not only preserves tradition and culture, but also let us survive. The sense of duty and responsibility are important factors in developing ethnic education and Korean arts and culture.
    Sixth, Korean-Chinese people in mainland China excepting Yanbian should turn over to new cultural people and civilized society. They need to strive for the ethnic harmony and to participate actively in political events so that they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As keeping in mind that the key point of ethnic education is the language and culture, we should never stop searching for the ways to advance.
    Consequently, this author hopes that this research is a chance to question ourselves about what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to solve many problems in Korean-Chinese music education, and can help the preliminary work to set a new model of Korean-Chinese music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