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조선족 무용특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Chinese’s D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3.09
24P 미리보기
중국 조선족 무용특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27호 / 197 ~ 220페이지
    · 저자명 : 유미희

    초록

    본 연구는 길림민족록음록화출판사에서 2008년에 출판한 <조선족무용속성교재>를 중심으로 중국 조선족의 무용을 분석하였다. 문헌연구와 비디오분석을 연구방법으로 하여 영상물에 제시된 부채춤, 장고춤, 편고춤을 자넷 애드쉐드(Janer Adshead)외 3인이 개발한 무용분석기술과 개념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동작뿐 아니라 춤을 둘러싸고 있는 제반 요소를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조선족 무용의 특징을 총체적으로 고찰하여 해외무형문화재 자원으로서의 중국조선족 무용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구성요소를 통해 보면 음악의 선율적 구조, 원형으로 잦은 걸음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공간사용, 스타카토식의 움직임, 포즈 위주의 정지 자세는경극에서도 살펴 볼 수 있는 움직임의 형태이며 특히 발끝을 쭉 편 채로 이루어지는 발끝의 움직임은 서양의 발레 뿐 아니라 중국무용에서 볼 수 있는 특징적형태로서 주류문화의 지배적인 중화적 색채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통적 민요나 장단의 사용, 긴장과 이완의 반복을 통해 움직임의 흐름을 끊임없이 이어가는 순환구조, 그리고 서정적이며 쾌활하고 낙천적 이미지의 연출 등은소수민족으로서의 조선 특유의 민족적 색채를 강조하는 것으로 중국과 한국의문화가 융합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융합적인 무용스타일은 일찍이 중국무용을 정립한 최승희의 예술적 성과의 결과이며 중국조선족 무용이해외 한민족의 다채로운 사회, 문화적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통로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Chinese’s danc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A Quick Manual of the Korean-Chinese’s Dancing, published in 2008 by Gillim Minjok Rogeum Rokhwa Publication. Based on the techniques and concepts for dancing analysis developed by Janet Adshead and three persons, this study analyzes the fan dance, Janggo dance, and Pyengo dance presented in the film in the methods of literature survey and video analysis.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whole elements surrounding the dance as well as basic motions, this study general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Chinese’s dancing, and tries to provide basic data of the Korean-Chinese’s dancing as an overseas intangible cultural resou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basic components, the melodic structure of music, the use of space by moving round with quick steps, staccato movement, the posture of repose mainly with pauses are also seen from Peking Operas, in particular, the toe movement with toes stretched, a specific form that can be seen from Western ballet and Chinese dancing, contains the prevailing mainstream Mandarin colors. Also, the cyclic structure in which the flow of movements incessantly proceeds in terms of the use of traditional folksongs and rhythms, and repetition of tension and relax, and creation of lyric, cheerful, and optimistic images emphasize the ethnic colors of Koreans as a minority group, and hence show a form incorporating China’s and Korea’s cultures. Second, the dancing style incorporating Korean and Chinese cultures is result of the artistic achievements by Seung-hee Choe, who established Chinese dancing earlier, and can be taken to show that the Korean-Chinese’s dancing is a route to the identification of overseas Korean people’s colorful societies and cultural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