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리학, 부장제도의 제도화, 그리고 젠더의 정치학: 조선조 유교 부계사회의 첨예를 완화하기 위한 권한 행사와 영향력 획득을 위한 전략 (Neo-Confucianism,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atrilineality and the Politics of Gender : Strategies for Employing Agency and Securing Influence in order to Soften the Edge of Confucian Patriarchy dur)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3.03
12P 미리보기
성리학, 부장제도의 제도화, 그리고 젠더의 정치학: 조선조 유교 부계사회의 첨예를 완화하기 위한 권한 행사와 영향력 획득을 위한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한학연구 / 17호 / 266 ~ 277페이지
    · 저자명 : Wing Shan Chan Esme

    초록

    성리학은 조선 왕조의 국가 이념으로 정치․사회․경제 개혁의 지침이 되었다. 여성은 유교 사상의 수호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유교 가부장제도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이상적인 여성 덕목을 실현하도록 가르침 받았다. 지배원칙과 행동규범은 상류층에서 형성되었고, 이 이상적인 규범이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서서히 영향을 미친 사실은 자주 논의된 바 있다. 따라서 양반 여성은 주어진 역할과 유교 원칙을 자신의 의무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성리학은 가족을 기초적인 사회 개체로 간주한다. 따라서, 가정의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 안정을 지키고자 성 역할 및 지위를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또한, 위계질서에 대한 유교 사상에서 파생된 중요 윤리 원칙인 男尊女卑, 賢母良妻, 그리고 烈女는 여성이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모토(motto)가 되었다. 주지하다시피, 조선 왕조는 법, 보상, 그리고 엄벌에 따라 유교 원칙과 규칙을 시행하였다. 따라서 유교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생존을 위해서는 유교 원칙에 입각하여 가족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게 되었다.
    유교의 가부장제가 남성에게 모든 권리와 특권을 부여한 것은 언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여성은 재산을 상속 받거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것과 같은 지위와 특권을 부여받지 못 했을 뿐만 아니라, 공적 생활과 어떠한 영향력 있는 역할에서도 배제되었다. 조선의 여성은 종속적 위치에 있는 수동적인 대상이자 무력한 존재였다고 논의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유교의 가부장제 체제 내에서 여성이 어느 정도의 자율성과 자신의 이익을 위해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던 것은 명백하다. 유교에서 성 역할을 제약하는 것이 여성이 가정 내에서 상당한 권한을 행사하고 가사를 담당하며 영향력을 확보하는 것 이외에도, 이러한 엄격한 성 분리 아래에서도 여성이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규정하는 것까지도 가능하게 해주었다는 사실이 종종 언급된 바 있다. 또한 內訓과 같은 여성 덕목서는 조선시대에 성리학이 어떠한 방식으로 여성을 억압했는지를 입증하는 데에 활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그러한 덕목서를 읽으며 자신들의 삶을 개척하는 수단으로서 유교 이념에 관여할 필요성을 명확히 인지하였다.
    이 글에서 필자는 여성이 조선시대 유교의 가부장 제도에 직접적으로 도전하지 않고 권한을 행사하고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어떻게 발전시켰는지를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여성은 성리학을 수용하고 유교 체제에서 적절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방식을 결정할 수 있었다. 둘째, 여성은 엄격한 성 분리 하에서도 안채에서 개인의 주체성과 권한을 찾거나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은 다양한 법적 보호를 받았으며 남성이 갖지 못한 특권을 누리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Neo-Confucianism was the state ideology of the Chosŏn dynasty, which became the guiding principle for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reforms of the society. Women were taught to assume roles as guardians of Confucian ideology and embody the ideal of female virtue as one of the central elements of the Confucian patrilineal system. It has often been observed that the ruling principles and codes of behavior were created in the upper class and the ideal norms penetrated all classes of people from high to low gradually. Therefore, yangban women were inclined to accept the given roles and Confucian principles as their duties.
    Neo-Confucianism views the family as the basic social unity. Thus, gender roles and status were clearly defined for maintaining order in the household and safeguarding social stability. Also, the leading ethical principles, men should be respected, women should be lowered (namjon yŏbi, 男尊女卑), which was derived from the Confucian belief in hierarchy, wise mother, good wife (hyŏnmo yangch'ŏ, 賢母良妻) and virtuous women (yŏllyŏ, 烈女) became the motto for women's role performance. It is true that the Chosŏn dynasty enforced Confucian principles and rules by law, award and severe punishment. As a result, the establishment of a family based on the Confucian principles became essential to women’s survival in the Confucian patrilineal society.
    Undoubtedly, the Confucian patrilineal system authorized all right and privileges to men. Thus, women not only suffered a loss of status and privileges such as inheritance of property and participation in ancestor ritual, but also were excluded from public life and any influential role. One might argued that Chosŏn women have been passive recipients of the subordinate status and regarded as powerless. However, it is clear that women were still able to exercise agency within the Confucian patrilineal system to gain a degree of autonomy and further their interests. It has often been observed that the strictures of Confucian gender roles not only allow women to exercise considerable authority within the family and gain influence through managing the household affaires, but also allow them to define a space where they could play meaningful roles under the strict gender segregation. Moreover, moral handbooks for women such as Instructions for women (Naehun, 內訓), which have always been used to demonstrate how Neo-Confucianism oppressed women in the Chosŏn dynasty. Nevertheless, it is clear that women realized the need of engaging Confucian ideology as a means of improving their lives through reading those moral handbooks (Kim, 2011: 8).
    In this essay, I will talk about three aspects how women developed strategy to employ agency and secure influence without directly challenging the Confucian patrilineal system during the Chosŏn dynasty. First, women were able to negotiate a means to live their lives through engaging Neo-Confucianism and fulfilling the proper role in the Confucian system. Second, women were capable to find personal agency and empowerment in the inner quarter or even gain social recognition in the society under the strict gender segregation. And lastly, women were protected by various laws and enjoyed certain privileges that men did not ha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