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문학의 희곡 창작화 위한 서사구조비교 고찰 - 이인로 [청학동기] 와 도연명 [도화원기] 의 낙토(樂土)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Narrative Structures for the Creation of a Play from Korean-Chinese Literature - Focused on the Utopias in CheongHakDong-Gi by Lee In-ro and DoHwaWon-Gi by Do Yeon-myeong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2.08
21P 미리보기
한·중 문학의 희곡 창작화 위한 서사구조비교 고찰 - 이인로 [청학동기] 와 도연명 [도화원기] 의 낙토(樂土)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27권 / 3호 / 239 ~ 259페이지
    · 저자명 : 손대환

    초록

    이 연구는 이인로의 <청학동기>와 동양인들의 무릉도원 원전으로 불리어지는 도연명의 <도화원기>의 서사구조를 비교분석했다. 이는 한국적 이상향의 공간, 낙토에 대하여 희곡으로 창작하는데 그 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사구조 비교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내자 모티프가 등장한다. <청학동기>는 노인의 말(言)이며 <도화원기>는 길 잃은 어부를 이끄는 복숭아꽃(桃花) 이다. 둘째, 이상공간은 실재(實在)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청학동기>은 지리산의 연원을, <도화원기>는 ‘무릉’ 이라는 지명을 등장시키고 어부가 찾아갔던 공간은 무릉 지역의 어느 곳에 실재하는 장소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소구협로(小口狹路), 동굴모티브가 활용되고 있다. <청학동기>는 길이 비좁고 구불구불하여 겨우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다. 그리고 수십 리를 지나서야 광활한 벌판의 경지가 전개된다고 하였다. <도화원기>는 좁은 동굴을 지나 광활한 토지(土地平曠)에 이르게 된다. 넷째, 광전(曠田)의 자족경제 모티프가 등장한다. <청학동기>는 곡식을 심기에 적당한 비옥한 옥토라는 점에서 낙토임을 내세운다 <도화원기>는 기름진 땅과 아름다운 연못, 뽕나무와 대나무 등이 있는 풍요로운 자급자족의 경제체제를 강조한다. 다섯째, 피안의 세계 공간임을 부각시키고 있다. <청학동기>는 ‘대개 속세를 떠나 사는 사람들이 살았다’는 말을 하고 있다. <도화원기>는 이상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진(秦)의 난을 피해 세상과 단절된 이곳으로 들어온 사람의 후손임을 밝히고 있다. 여섯째, 재접근의 거부 모티프가 나타난다. <청학동기>는 이인로가 당형과 함께 ‘청학동’을 찾았으나 끝내 찾지 못한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도화원기>는 ‘바깥사람에게 이야기 하지 말라’는 당부를 함에도 어부는 길에 표시하고 세상을 나가 알림으로써 재접근을 시도하나 끝내 실패한다. 일곱째, 시간 초월 공간이 아님을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청학동’이라는 이상공간이 신선들이 사는 시간 초월적 선계가 아니라 인간들이 행복하게 거주하는 ‘낙토(樂土)’의 개념임을 두 작품은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두 작품의 서사구조는 매우 유사한 동시에 현시대를 살고있는 우리들의 이상적 낙토 공간은 현실에서 행복하게 사는 곳이라는 주제의식을 드러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narrative structures of Lee In-ro’s CheongHakDong-Gi and Do Yeon-myeong’s DoHwaWon-Gi, known as the original text of Mureungdowon.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play about a utopia for Korean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narrative structures are as follows: First, guides are a central motif. They are the words of the old man in CheongHakDong-Gi and the peach flowers leading a lost fisherman in DoHwaWon-Gi. Second, the ideal spaces are actual places. Jirisan Mountain appears in CheongHakDong-Gi, and the place name ‘Mureung’ in DoHwaWon-Gi is recognized as a real region by the fisherman who had visited there. Third, Soguheolro (referring to a cave with a small entrance leading to a narrow route) is a dominant motif. CheongHakDong-Gi describes the route as confined to the extent that people can scarcely move and can only see the vast landscape after advancing a great distance at considerable discomfort. In DoHwaWon-Gi, passing through a narrow cave leads to a vast land. Fourth, self-sufficiency is a recurring motif. CheongHakDong-Gi indicates that rich and fertile lands suitable for growing crops abound. DoHwaWon-Gi emphasizes that a rich self-sufficient economic system exists since there are fertile soils, beautiful ponds, mulberry trees, and bamboo. Fifth, Nirvana (a state of enlightenment) is highlighted. In CheongHakDong-Gi, itsaysthat ‘There lived people who usually escaped from the world in the old days.’ DoHwaWon-Gi reveals that the people living in the ideal place are the descendants of those who arrived to avoid the revolt during the Qui dynasty. Sixth, denying reentry is another prominent motif. In CheongHakDong-Gi, Lee In-ro searches for Cheonghak-dong with Danghyeong only to fail. In DoHwaWon-Gi, despite being asked to refrain from communicating the location, the fisherman attempts to reenter without success after leaving markings on the road informing others. Seventh, it is suggested that these writings are not about a place beyond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기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