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립운동사 교육에서 사적지 활용방법과 그 효과 『국내 항일독립운동사적지 조사보고서』 활용수업을 중심으로 (A method of utilization of the historic site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it’s effect)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1.08
44P 미리보기
독립운동사 교육에서 사적지 활용방법과 그 효과 『국내 항일독립운동사적지 조사보고서』 활용수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호 / 279 ~ 322페이지
    · 저자명 : 김한종, 남정우, 이해영

    초록

    현재 독립운동사 서술의 문제점은 나열식 내용과 암기 위주의 학습을 들 수 있다. 이런 서술은 전반적인 문제점이기도 하지만 독립운동사 서술에서 두드러진다. 예로 1920~1930년대 만주지역의 독립운동의 경우, 전개과정이 복잡하고 비슷한 이름을 가진 수많은 단체와 인물이 나열되어 있어 학생들을 질리게 한다. 그리고 국사교육이 독립운동에 종사하였던 사람들의 삶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독립운동사 교육은 독립운동의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거나 독립정신을 추상적으로 강조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다보니, 독립운동에 종사하였던 사람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며, 학생들은 독립운동에 종사했던 사람들이 자신과는 전혀 다른 세계에서 살아간다고 인식하게 된다. 학생들이 독립운동을 자신의 삶 속으로 끌어들이지 못하는 또 다른 이유로는 기존의 독립운동사 교육이 지나치게 국가 단위나 중앙에서 일어난 사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여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나라 사랑 마음을 내면화하기 위한 방안을 실제 수업에서 3가지 방향으로 모색했다. 교육과정의 편제는 어쩔 수 없더라도 피상적이고 추상적인 교과서 서술, 나열적인 서술에서 벗어나 독립운동과 거기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수업을 추구했다. 그리고 지나치게 국가 단위나 중앙에서 일어난 사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수업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도 운동이 일어난 사례를 들어 독립운동을 가르치는 방안을 찾았다. 일반 고등학교에서 독립운동 보충자료를 이용하여 한 수업, 현장체험학습을 통한 수업, 역사교실을 이용한 독립운동 관련 제작 수업이 대안이 되는 사례이다. 이들은 모두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립운동 단원이 가장 많은 <한국근·현대사> 시간을 대상으로, 독립기념관에서 발행한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업 결과, 학생들은 지역의 항일독립운동 활동에 대해 강한 자부심과 긍지를 보였다. 일반 교실 수업, 체험활동 수업, 역사교실 수업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가장 많은 반응은 지역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었다. 독립운동이 특정 지역에서만 일어나는 먼 이야기가 아니라 가까운 우리 지역에서 일어난 운동이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았고 그에 자부심도 느꼈다. 둘째, 제대로 보존이 되지 않는 독립운동 사적지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기도 했다. 셋째, 역사적 사실을 나와 연관시키는 감정이입적 역사이해를 시도했으며 이런 과정을 통해 독립운동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인식하였다. 넷째, 독립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에 대한 고마움과 존경심을 표현했고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단순히 역사적 지식만을 얻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지식을 내면화하고 가치관 형성을 시도했다. 항일운동에 참가하였던 사람들 덕택에 오늘날 자신이 존재하게 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존경스러운 마음을 표현했고 그 분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억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It can be said that the problems of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lie in enumerative contents and study mainly with memorization at the present day. Such description is a general problem in other fields, however, it is noticeabl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r example, as there appeared lots of organizations and figures with the similar name and the cour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complicated in ca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in 1920 ~ 1930s, this overwhelms the students. And history education does not show them the life of the patriots who were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satisfactorily. Existing history education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places emphasis on displaying its visible achievements or emphasizing the abstract spirit of independence. Therefore it can not show the students the life of the patriots in detail and they get to recognize that the patriots lived in the quite different world. And another reason why the students can’t br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over to their life is that existing history education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composed of the facts with priority given to the nation or the central government.
    In three directions we sought for the plan to make up for these problems and make the students spontaneously internalize love for their country in class. Though we can’t touch the formation of curriculum, we tried to get out of abstract and enumerative description of the textbook and sought to show the students the life of the people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detail. We shed our old way of lessons performed with priority given to the facts with priority given to the nation or the central government and sought for the plan to teach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giving the example of an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carried out in the place where the students are living. Alternative lessons are as follows; a lesson utilizing supplementary materials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a high school, a lesson through field study and essay writing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using the history classroom. These examples were organized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las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ch covers the most par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Historic sit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published by Independence Hall of Korea was used.
    The students showed a sense of self-esteem and pride on the local patriots’ activiti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lesson. Their common and major response in an ordinary lesson in the classroom, field study and a lesson in the history classroom was interest and love for their native place. They newly recognized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carried out in their town, not in a specific region far away and felt a sense of pride for this. Secondly, they expressed regret at the historical sit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not properly preserved. Thirdly, We tried empathetic history understanding to connect the historical fact with them and they recognized vividly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detail in this course. Fourthly, they paid their respects and thanks to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e tried to make them not only get knowledge of history but also internalize it and form their values. The students paid their respects to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made them who they are today, and wanted to memorize their noble spirit of self-sacrif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