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중국어 인식양태 조동사 ‘会’의 의미등급과 부정형식 고찰 - 의미와 형식 간 비대칭 현상을 중심으로 (Semantic Scale and Negative Forms of the Modal Verb ‘会’ in Modern Chines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4.09
29P 미리보기
현대중국어 인식양태 조동사 ‘会’의 의미등급과 부정형식 고찰 - 의미와 형식 간 비대칭 현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97호 / 269 ~ 297페이지
    · 저자명 : 서지은

    초록

    인식양태(epistemic modality)는 일반적으로 화자의 명제에 대한 확신성 정도에 따라 [필연], [개연], [가능]으로 3분된다. 이들의 의미등급은 각각 ‘강’, ‘중’, ‘약’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학계에서는 인식양태 조동사 ‘会’의 의미등급을 바라보는 견해가 이 세 가지로 나뉘어 아직 통일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인식양태 ‘会’의 의미등급에 대한 공시적·통시적 고찰과 함께, ‘会’를 [필연]으로볼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 즉 ‘不会’가 왜 ‘강’에서 ‘약’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언어유형론적 고찰을 통해, 양태조동사의 부정형식에서 나타나는 의미와 형식 간 비대칭 현상이 비단 현대 표준중국어에만 보이는 특수 현상이 아님을 밝히고자 하였다. 고찰 결과는다음과 같다.
    인식양태 조동사 ‘会’는 소위 ‘약속’이라는 의미가 있을 정도로 실제 언어 사용에서는 [개연]에 해당하는 ‘应该’보다 더 높은 의미등급을 지닌다. 또한 ‘会’는‘능력’에서 인식양태의 [가능]으로 발달한 ‘能’과는 공시와 통시 두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会’는 ‘조건가능’과 ‘허가’의 의미가 존재하지 않으며, 인식양태 ‘会’가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진 宋代 문헌에서는 [필연]으로 쓰인 ‘会’ 가 긍정형식과 부정형식으로 모두 출현한다. 따라서 인식양태 ‘会’의 의미는[필연]으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고 하겠다.
    [필연] 의미 ‘会’의 부정형식인 ‘不会’가 여전히 ‘강’의 의미등급을 가지는 이유는, 부정사 ‘不’가 외부부정의 자리에서 내부부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不会’의 ‘会’는 여전히 ‘不’보다 더 큰 작용역을 갖는다. 부정사가 외부부정의자리에서 내부부정을 하게 될 경우, 이 양태조동사의 부정형식은 필연적으로의미와 형식 간의 비대칭이 발생한다. 이러한 비대칭 현상은 ‘会’의 부정형식에한정하여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要’, ‘得’처럼 [필연]을 나타내는 다른 인식양태 조동사의 부정형식에서도 나타난다. ‘不要’는 근대중국어 시기에 사용되었으며, ‘不得’는 현대중국어 방언에서 사용되고 있다.
    양태조동사의 부정형식에서 나타나는 의미와 형식 간 비대칭 현상은 중국어와 같은 ‘Neg+Aux’형 언어뿐만 아니라 영어와 같은 ‘Aux+Neg’형 언어에서도나타난다. De Haan(1997)은 세계언어를 NPS 언어(부정사의 위치에 의해 작용역이 결정되는 언어)와 MSS 언어(양태사에 의해 작용역이 결정되는 언어)로분류하였는데, 그의 언어체계 분류는 ‘不会’와 같은 비대칭 현상이 그만큼 범언어적인 현상임을 보여준다. 중국어는 여전히 부정사의 위치가 작용역의 판별에 있어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으므로 NPS 언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emantic scale of the epistemic modal verb ‘会’ in Modern Chinese and seeks to identify the reasons why, when ‘会’ is interpreted as [necessity], the semantic scale of its negative form ‘不会’ does not shift from ‘strong’ to ‘weak’.
    The epistemic modal verb ‘会’ holds a higher position on the semantic scale than ‘应该’, which corresponds to [probability], to the extent that it can even co nvey the meaning of a ‘promise’ in actual language use. Additionally, ‘会’ differs from ‘能’, which evolved from denoting [ability] to [possibility], in both synchro 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s. Therefore, it is accurate to interpret the meaning of ‘会’ as [necessity].
    The reason why the negative form ‘不会’ still maintains a ‘strong’ position on the semantic scale is that the negator ‘不’ performs internal negation while occupying the position of external negation. When the negator performs internal negation from an external position, the negative form of this modal verb leads to an asymmetry between meaning and form. This asymmetry is not unique to the negative form of ‘会’, but also occurs in other epistemic modal verbs that den ote [necessity], such as ‘要’ and ‘得’. ‘不要’ was used during the Pre-modern Chi nese period, and ‘不得’ is currently used in certain dialects of Modern Chinese.
    Typological analysis reveals that the asymmetry between meaning and for m in the negative forms of modal verbs occurs not only in ‘Neg+Aux’ languages like Chinese but also in ‘Aux+Neg’ languages like English. De Haan(1997) classi fied the world’s languages into NPS languages(where the scope of negation is d 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negator) and MSS languages(where the scope is determined by the modal). De Haan’s(1997) classification of language systems suggests that the asymmetry observed in ‘不会’ is indeed a cross-linguistic phe nomenon. Since the position of the negator still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 ng the scope of negation in Chinese, it can be classified as an NPS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