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 「낙산 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 조의 서사적 특징: 낙산 관음성지의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of Naksan-idaeseong Gwaneum Jeongchwi Josin of Samguk-yusa: Examining the Symbolic Meaning of Naksa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0.06
23P 미리보기
『삼국유사』 「낙산 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 조의 서사적 특징: 낙산 관음성지의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1호 / 77 ~ 99페이지
    · 저자명 : 배금란

    초록

    「낙산 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조는 관음보살 진신의 친견이라고 하는 의상의 종교체험을 기반으로 이 땅 본연의 신성으로서 관음보살의 존격을 정립하고 신라국토 내에 존재하는 관음 상주성지(常住聖地)의 기원을 제시하는 ‘역사적 신화’이다. 의상의 자내증(自內證)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중심이 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보타락가산에서 관음보살을 친견하는 『화엄경』 「입법계품」의 선재동자의 이미지가 투영되고 있다. 즉 「입법계품」에 묘사된 관음영장(觀音靈場)을 동해의 해변굴에 투사하는 서사 구조를 보여준다. 이어지는 범일의 기사에도 「입법계품」의 보타락가산으로 비천해 온 정취보살의 모티프가 원용되고 있다. 관음 상주 도량으로서 동해 낙산의 상징성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낙산 관음 상주처의 건립은 사상적으로 의상이 선양했던 화엄법계관(華嚴法界觀)이 바탕이 되고 있다. 세속 공간인 신라국토 내의 해변굴은 관음보살의 주처로서, 진리(理)와 현상(事)이 걸림 없이 서로를 함용(含容)하는 진성(眞性) 연기의 연화장세계로 드러나고 있다. 또 지형학적으로 동북방의 변지(邊地)를 불보살이 상주하는 정토(淨土)로 상정함으로써, 신라 중고기에 수미산 우주관을 기반으로 성립되었던 왕경 중심의 불국토관을 극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의상이 화엄 전교의 거점으로 삼았던 동북면의 주변성은 또 다른 차원의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의상, 원효, 범일, 조신 등의 서사를 전반적으로 관통하는 핵심 모티프는 관음보살의 진신(眞身)과 화신(化身)의 성현(聖顯) 관념이다. 의상과 범일의 기사는 진신 성현 감득(感得)의 모티프를 통해 이 땅 본연의 신성 관념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원효와 조신의 이야기는 화신 성현의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이 땅 민중들의 삶 속에 화광동진하는 구제자로서 관음보살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삼국유사』의 찬자인 일연은 당대까지 전승되어온 자료들을 종합 검토하여 관음보살 성지로서 동해 낙산의 상징적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 그가 살았던 고려 당대의 피폐한 현실 속에서 이 땅의 민중들과 소통․감응하는 관음보살 구제 활동의 역동성과 현존성을 강조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c implications of Naksan (洛山) located in Yang-yang, Kangwon province, and known as the sacred place where Quan-Yin Bodhisattva (觀音菩薩) resides.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key motifs of the article Naksan-idaeseong Gwaneum Jeongchwi Josin (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 of Samguk-yusa (三國遺事),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icle is a historical mythic narrative that assumes the Quan-Yin Bodhisattva as a deity existing naturally in this country. It revealed the origin of Naksan as pure land(淨土) based on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Uuisang (義湘). Furthermore, Naksan also was an embodiment of the Potalaka (補陀落迦) presented in Ibbeobgyepum (入法界品) of Avatamsaka Sutra (『華嚴經』), where Seonjae (善財) had met the saints, Quan-Yin and Jeong-chwi bodhisattva. The image of Seonjae who looking for Quan-Yin was projected on the performance of Uuisang, who had seen the true body of Quan-Yin. The story of Beomil reproduced the motif of the Jeong-chwi bodhisattva that flew to the Potalaka to meet Seonjae. It highlights the religious symbolic meaning of Naksan as a reenacted place of the Potalaka, as presented Ibbeobgyepum.
    The secular world, coastal cave on the East Sea, was able to transform into Naksan, a sacred pure land where Quan-Yin Bodhisattva resides through Hwaeombeobgyegwan(華嚴法界觀). The ‘Bulgukto-Gwan (佛國土觀)’ was centered on the Seoul of Silla dynasty, according to the Mt.Sumeru-universe; and it was overcome by Hwaeombeobgyegwan. Thus, it became a prototype for building Buddhaland (佛國)/pure land (淨土), at any location in Silla territory. Through anecdotes related to Uuisang, Wonhyo, Beomil, and Joshin, the author, Ilyeon (一然), also emphasized the power of the Quan-Yin bodhisattva for rescuing people in his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