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강점기 한 기독인 과학자의 과학관과 종교관 ― 조응천(曺應天, 1895-1979)의 경우 (A Christian scientist’s views of science and reli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In the case of Cho Eung-Cheon (1895-1979))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2.12
32P 미리보기
일제 강점기 한 기독인 과학자의 과학관과 종교관 ― 조응천(曺應天, 1895-1979)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99호 / 175 ~ 206페이지
    · 저자명 : 김태연

    초록

    종교와 과학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종교와 과학의 서구적 갈등 모델을 중심으로 각 세계관의 차이점을 조명해온 경향이 있다. 갈등 모델을 잠시 접어두고 구체적인 우리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 종교와 과학에 대한 담론을 발굴하고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과학과 종교의 세계관과 담론이 교차하는 장소인 삶을 살아내는 인간에 대한 조명은 종교와 과학의 갈등 모델 하에서는 잘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본 연구는 미시적 접근 방식을 택하여 일제 강점기의 한 기독인 과학자에게서 종교와 과학에 관한 이해가 담론적으로 어떻게 표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과학적 영농 교육과 농민의 기독교적 덕성, 도덕 함양을 위해 발행된 잡지, 『農民 生活』에서 활동한 과학자 조응천(曺應天, 1895-1979)의 삶과 글을 통해 그가 어떠한 과학과 종교관을 피력했는지 검토하고자 했다. 조응천의 경우, 종교적 신앙심과 그로부터 비롯된 이타적 결단이 오히려 과학적 탐구와 조선의 계몽화, 과학화를 위해 헌신하는 기반이 되었다. 그는 조선인으로서 조선 땅에서는 ‘조선을 위한’ 과학이어야만 진정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고 믿었다. 과학관과 종교관은 그의 사유 속에서 상호 영향 관계 속에 놓여있었으며 민족적 정체성 또한 이와 연관되어 있었다. 일제 강점기 과학적 조선과 조선적 과학을 위해 분투한 지식인의 삶 속에서 종교와 과학은 대립적 관계가 아닌 긴밀한 동반자적 관계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Previous studies on religion and science have mainl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ir worldviews based on the Western conflict model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However, an excessively confrontational interpretation could rather be a hindrance in recognizing the variety of historical realities.
    It is necessary to set aside this conflict model for a while and discover the discour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through concrete examples from our history. This study took a microscopic approach to examine how the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science was expressed discursively in a Christian scient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life and writings of Cho Eung-Cheon, a scientist who worked for the magazine Farmer’s Life published for scientific agriculture, Christian virtue, and moral cultivation of farmers, I attempted to analyze how he expressed his views of science and religion. In the case of Cho, his religious faith and the altruistic decision that resulted from these became the basis for his dedication to scientific research, enlightenment, and scientification of Joseon. He believed that the true value of science could be demonstrated only when it was developed ‘for Joseon’ in Joseon.
    His views of science and of religion were mutually influential in his thought and his national identity was also related to these. In the lives of intellectuals like Cho who struggled for scientific Joseon and Joseon’s sc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can be confirmed that religion and science were not in a conflicting relationship, but in a close partne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