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상근류 가야금산조 고찰을 통한 ‘음악 감상․비평’ 지도내용 연구-음악 역사·문화적 맥락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Content for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ark, Sang-geun School Gayageum Sanj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08
30P 미리보기
박상근류 가야금산조 고찰을 통한 ‘음악 감상․비평’ 지도내용 연구-음악 역사·문화적 맥락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1권 / 2호 / 125 ~ 154페이지
    · 저자명 : 유선미

    초록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는 음악문화․사회․역사적인 관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매우 높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진로선택 교육과정에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를 신설하였는데, 이에 따라 산조 교수․학습 내용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충청권 산조인 박상근류 가야금산조를 음악 역사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고찰하고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 수업내용을 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충청도제 박상근류 가야금산조는 박팔괘-박상근으로 전승되고 1968년 국가무형문화재로제23호로 지정되면서 성금련을 보유자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1977년 보유자 인정이 해제되면서 계승이 단절된 상태이다. 박상근류의 음악적 특징은 장단에 굿거리가 포함되어 있는데, 실제 연주나 문헌자료에 의하면 오늘날 전승되는 산조 ‘중중모리-굿거리’의 장단 명칭은 ‘굿거리-중중모리’로 명칭을 바꾸어야 한다. 그리고 진양의 내드름은 다른 산조들과 유사하나, 종지는 다른 산조들과 달리 악조별, 음악문단별로 완전종지를 하지 않고 연결종지로 가락을 이어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박상근류 가야금산조를 고찰한 내용을 중심으로 ‘음악 감상․비평’ 수업을 위한 지도내용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감상영역에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요소에 따라 ‘가야금산조의 근원과 발생과정, 지역별 산조, 박상근류 산조의 내드름과 종지가락, 충청제 박상근류 산조의 장단 구성’을 지도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가야금산조는 조선 후기 사회적․문화적․역사적 배경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했고 다양한 유파로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렀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충청지역 산조인 박상근류만의 가락표현과 장단구성의 특성에 대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비평영역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요소에 따라 ‘무형문화재로서 충청도제 산조의 가치인식, 무형문화재 보존․전승의 제도의 문제점’이라는 지도 내용을 선정하였다. 충청도제 박상근류 가야금산조에 대한 다양한 가치를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음악적 안목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도록 지도하며,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인 산조의 보존․전승제도에 대해 비평을 하도록 하여 전문인으로서 비평의 의의를 두도록 지도한다.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산조인 박상근류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 가야금산조의 근원과 발전과정, 산조의 전승계보에 대한 역사․문화적 배경 및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여 선택중심 교육과정 중 진로선택의 ‘음악 감상 및 비평’ 교과의 수업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Gayageum sanjo,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23, has a great educational value in terms of a musical-culture,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course was newly offered under the career choice curriculum, so a need for research on teaching-learning content for sanjo is raised. For this,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ark, Sang-geun school gayageum sanjo of the Chungcheong area from a music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hus providing instructional content for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
    The Park, Sang-geun school gayageum sanjo of Chungcheongje was passed down from Park, Pal-gwae to Park, Sang-geun. It wa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23 in 1968, and Sung, Geum-ryeon was recognized as a holder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77, however, the succession was cut off as the holder’s approval was lifted. One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k, Sang-geun school sanjo is the inclusion of gutgeori in its jangdan, but according to actual performances and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name of the existing sanjo jangdan from ‘jungjungmori-gutgeori’ to ‘gutgeori-jungjungmori.’ Also, naedeureum in jinyang of the Park, Sang-geun sanjo is similar to that of other sanjos, but its cadence is quite different. Instead of ending in perfect cadence, it continues a melody with connecting cadence depending on modes and musical sentence.
    As described above, the instructional content for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 is selected as follows, centering on the examination of the Park, Sang-geun school sanjo.
    In appreciation, ‘the origin and formative process of gayageum sanjo, regional sanjo, naedeureum and cadence patterns and jangdan structure of the Park, Sang-geun gayageum sanjo of Chungcheongje are selected as the instructional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guidelines. Students are instructed to understand that sanjo naturally occurred depending on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was developed into various schools to finally reach a current form. They are also instructed to understand unique melodic expressions and jangdan structure presented in the Park, Sang-geun school gayageum sanjo of Chungcheongje.
    In criticism, recognition of values of the sanjo of Chungcheongje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issues of preserving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re selected as the instructional content. Teachers place emphasis on developing musical competencies that can help students interpret and evaluate various values ​​of the gayageum sanjo of Chungcheongdoje on the ground of critical thinking. They also have students to criticiz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system of the sanjo,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23, thus having a significance of criticism as a professional.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resenting the instructional content for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under the career choice curriculum by examining the origins and formative proces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ransmission genealogy in regard with the Park, Sang-geun school gayageum san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