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근대의 宗名과 宗祖 인식의 역사적 고찰 -曹溪宗과 太古法統의 결연-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Buddhist School Name and Foun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odern Age -The Affiliation between Jogye School and Taego Legitimate Origi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0.06
39P 미리보기
조선후기·근대의 宗名과 宗祖 인식의 역사적 고찰 -曹溪宗과 太古法統의 결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8호 / 43 ~ 81페이지
    · 저자명 : 김용태

    초록

    본 논문은 조선후기에서 근대까지의 宗名 변천과 宗祖 인식을 역사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종명과 종조는 한국불교의 정체성 및 역사적 정통성과 직결되는문제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조선후기 臨濟太古法統의 성립과 계승 문제를 살펴보았고 이어 근대에 대두한 종명과 종조를 둘러싼 전통 인식을 검토하였다. 17세기전반 임제태고법통이 성립된 후 太古 普愚는 법통상의 조사로 부상하였고 조선후기와 근대를 거치면서 역사적 권위를 획득하였다. 20세기에 들어 圓宗, 臨濟宗,禪敎兩宗, 曹溪宗 등 여러 종명이 변천을 거듭하였고 태고 보우, 普照 知訥 등종조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펼쳐졌는데, 그 결과 한국불교의 대표 종명은 조계종으로 확정되었고 禪宗, 조계종, 임제법통을 각각 상징하는 조사들이 종조로 선정되었다. 즉 조계종의 開祖는 신라의 道義, 中興祖의 반열에 고려의 보조 지눌과태고 보우가 들어가게 되었다. 이처럼 종조의 조합은 조선후기의 역사상과 근대의 전통인식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이는 조계종 전통과 태고법통의 역사성이 결합된 통시적, 복합적 구조였다.
    조계종의 역사적 정체성은 看話禪 일변도의 선종 우월주의가 아닌 定慧兼修와禪敎융통에서 찾아야 하며 조선후기에도 선교겸수의 지향과 교학 중시 경향이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계종 전통을 온전히 되살리고 한국불교의 올바른 방향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선 뿐 아니라 교학과 念佛 등 다양한 전통을 재발견하고 정체성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즉 선과 교를 아우르는 통합적 역사인식과 새로운 전통 창출의 부단한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려와 근현대를 잇는 가교로서 조선시대 불교의 실상과 정체를 파악하고 그것을 비판적으로재조명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nge of school name and the recognition of school founder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age historically. School name and founder are the issues,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historical legitimacy. Firstly, the study surveyed the foundation of 'Imje Taego legitimate origin'(臨濟太古法統)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succession and then reviewed the school name, which appeared in the modern age and its traditional recognition around the school founder. After Imje Taego legitimate origin was founded in the 17th century, Taego Bowu(太古 普愚) rose as a patriarch of the legitimate origin and acquired the historical authority over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age. In the 20th century, various school names such as Won School(圓宗), Imje School(臨濟宗), Seon & Doctrinal School(禪敎兩宗)and Jogye School(曹溪宗) repeated their changes and there were various discussions over school founders such as Taego Bowu and Bojo Jinul(普照知訥). As a result, the representative school of Korean Buddhism was confirmed as Jogye School and the patriarches representing Seon School(禪宗), Jogye School and Imje School were selected as school founder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under of Jogye School is Doui(道義) of Silla and its successors are Bojo Jinul and Taego Bowu of Goryeo. Like that, the combination of founders were formed by historical situat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radition recognition of the modern age, which is a dischronic, complex structure combining the tradition of Jogye School and history of Taego legitimate origin.
    The historical identity of Jogye School shall be found in the ‘cultivation of both doctrinal study and contemplative exercise’(定慧兼修) and ‘accommodation between seon and doctrinal school’(禪敎融通) and rather than Seon School chauvinism biased to Ganhwa practice(看話禪). Also,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rend to search for ‘pursuing both Zen and non-Zen’(禪敎兼修) and give priority to doctrine appeared strong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iscover various traditions such as doctrine(敎學) and recitation(念佛) as well as seon and search for identity in a new manner in order to recover the tradition of Jogye School and search for the right direction of Korean Buddhism. In other words, the effort to create the synthetic history recognition covering Seon and Doctrine and new tradition is required. For the purpose, it is necessary to grasp actual status and identity of Joseon Buddhism as a bridge to connect Goryeo age to modern & present age and transfer recognition to illuminate it critically ag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