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세 일본의 기근 사자와 지장신앙 : 1732~33년의 교호 대기근과 우에닌지조(飢人地藏) (Famine Deaths in Early Modern Japan and Faith in Jizo: The Great Famine of Kyoho(1732~33) and Uenin Jizo)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9.09
43P 미리보기
근세 일본의 기근 사자와 지장신앙 : 1732~33년의 교호 대기근과 우에닌지조(飢人地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종교문화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문화비평 / 36권 / 36호 / 212 ~ 254페이지
    · 저자명 : 박병도

    초록

    본 연구는 근세 일본의 기근 재해 중 하나인 교호 대기근(1732~33)으로 인한 기근사자의 발생에서부터 장례와 매장 등의 사자처리 그리고 위령의 문제까지 포괄적으로고찰하며 특히 기근 사자가 양적으로 대량이며, 질적으로 신원불명인 점에 주목하였다.
    교호 대기근에 의한 희생자는 기한(飢寒)과 역병으로 주로 발생하여 후쿠오카번에서만6~7만 명, 일본 전체적으로는 수십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도시부로 많은 이들이 모여들지만 이들 대다수는 이동 중에 또는 도시에서 구걸 중에 죽고 만다. 신원이 확인되는 개별 사자들은 소속 사원에서 장례와 매장을 담당했지만기근으로 인한 경제적 궁핍상황 속에서는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더욱 큰 문제는대량으로 발생하는 신원불명의 사자에 있었다. 이들은 번의 명령에 따라 히닌(非人)들이집단매장을 했고 번의 대표사원이나 제종파의 사원들에서 위령의례를 행하였다. 이는소속사원과 소속종파에 의해 적절하게 장례와 매장을 치르지 못하고 집단매장된 사자들의 종파성을 고려한 조치였다.
    한편 민간에서의 기근 사자의 처리와 위령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데 본 연구에서는 《우에닌지조 이야기》라는 자료 속의 지장상과 기근 공양탑의 조사내용을 이용하여 도시부 이외에서도 마을 단위로 기근 사자의 집단매장이 이루어졌고 이들의 묘비로서 ‘우에닌지조’라는 지장상이 세워졌으며 이후 우에닌지조마츠리라는 의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근 사자위령으로서 지장신앙이 등장하는 배경으로서두 가지 측면을 지적했다. 하나는 일본 고대, 중세를 거쳐 근세에 와서 민속적 ‘지조신앙’ 으로 발전하는 일본 지장신앙의 계보 속에서의 연속성이며, 다른 하나는 근세 사단관계의 한계로 인해 재해와 같은 비상시에 발생하는 대량의 신원불명 사자를 제대로 처리하고 위령하지 못하는 근세적 특수성이다. 사자의 구제자로서의 지장의 오래된 영험과 함께 근세 민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는 지장신앙이 우에닌지조 등장의 한 배경이라면, 근세 사단제도의 한계로 집단매장된 신원불명의 사자에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 민간에서 종파성을 뛰어넘은 민속신앙화된 ‘지조’가 등장하게 된 또 다른 배경이라고 할 수있다.

    영어초록

    The Great Famine of Kyoho lasted from 1732 to 1733. It is estimated that this disastrous famine costs more than 200,000 deaths toll only in the western area of Japa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ay how the disaster victims were dealt with and commemorated, particularly focused on the unidentified mass death funerals.
    According to the official government records and the collections of the personal records about the famine, there happened to be the mass burials of the unknown victims and the ritual performances for the commemorations by the Buddhist temples following to the government’s guides and orders. It was not easy to perform the Buddhist burial rituals according to the sectarian formats in this massive disaster. That is why representative temples of the government, and all Buddhist sects of temples performed spiritual commemo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mmoners also conducted the mass burials and performed the spiritual commemorations for the deaths. I tried to explain how these burials and commemorations had been performed by way of analyzing the inscriptions of the famine monuments and the Jizo(Kstigarbha) statues. The Uenin Jizo(飢人地蔵), Jizo statues, particularly set for the unidentified famine deaths are so important, and their rituals in the area of Fukuoka are meaningful. I suggest two reasons how and why the faith in Uenin Jizo have been established: one is derived from the long history of faith in Kstigarbha in Japan, and the other one is a special religious situation in early modern Japan that the funeral commemorations were to be performed by the Buddhist temples. The commoners had been usually belonged to one of the selected Buddhist temples (Jidan system). In massive famine disasters, the unidentified deaths wouldn’t be properly handled under the Jidan system. It was practical to use the already established Jizo faith in the people’s minds to overcome the sectarian boundaries of Buddhist burial rituals on the deaths. In these two grounds the Uenin Jizo stands out in Fukuoka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문화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