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시조의 표현양태 변모과정 연구 -구술성과 문자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Modern Sijo Expressions -Focused on Orality and Literac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4.05
34P 미리보기
근대시조의 표현양태 변모과정 연구 -구술성과 문자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36권 / 235 ~ 268페이지
    · 저자명 : 배은희

    초록

    본고는 190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까지의 시조작품과 시조에 관한 논의를 대상으로 하여 시조 존재양태 변모과정을 연구하였다.
    1900년대 후반부터 1910년대까지 대중매체에 실린 시조는 비록 신문과 잡지에 게재되었더라도 완전히 ‘읽기’로 변화된 것이 아니라 ‘부르기’와 ‘읽기’가 혼재된 양상을 띠고 있었다. 이는 기존 곡조를 창작기반으로 한 구곡신조(舊曲新調) 현상과 부르기 쉬운 정형구(formulas) 사용을 통해 구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구곡신조 현상은 평시조뿐만 아니라 사설시조도 창작 가능케 하였고, 정형구 사용은 비록 새로운 창작 작품이라도 고시조와 유사한 어구의 존재로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용이함이 있었다.
    이러한 혼재된 양상은 1920년대 중반 이후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면서 문학으로 혹은 시로서 시조담론이 형성되면서 변화되기 시작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시조담론은 국민문학으로서 시조의 성립을 위해 곡조를 제거하고 ‘읽기’만을 위한 논의로 전환된다. ‘읽기’ 위한 시조를 창작하기 위해서는 곡조는 제거되어야만 했고, 곡조 대신 문학적 형식 기반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정형구를 사용한 시조는 진부한 표현으로 평가되고 참신한 표현이 자리 잡게 되었다. 여기에 조선의 정형시 수립이라는 목적이 첨가되면서 근대 시조론자들은 고시조에서 형식을 추출하여 평시조 형식을 완성하였고, 이 논의는 <독자문단>, <현상문예> 등과 같은 제도를 통해 공식화하였다. 이를 통해 시조는 근대적 문학으로서 혹은 시로서 창작 가능한 토대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 과정에서 비교적 형식이 자유로운 엇시조와 사설시조는 배제되었고 고시조, 한시의 정형구를 사용한 작품들은 진부한 표현방식으로 평가된다. 그 결과 1920년대 중반 이후 시조는 평시조 중심으로 평이한 시어로 이루어진 감각적인 시조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했다. 즉 시조의 구술성은 완전히 제거되고 문자성만 남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esent thesis addressed Sijo works written from the late 1900s to the 1920s and dealt with changes of a Sijo form focused on the arguments about a Sijo.
    The Sijos found in mass-media from the late 1900s to the 1910s were new ones based on the old melodies and were formulas which are easy to sing along. The new Sijos based on the old melodies allowed people to create a Pyungsijo and a Saseolsijo. Even though it was new works, it was easy to remember phrases owing to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new and old ones. Although a Sijo appear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it was not a complete 'reading' material' but a mixed material of 'reading' and 'singing'.
    This mixed aspects began to be changed, forming Sijo discourse as a literature or a poetry during Sijo Renaissance after the middle of 1920s. The Sijo discourse changed to a discussion for only 'reading', removing the melodies in order to establish a Sijo as a nation's literature. The melodies had to be removed to create a Sijo for 'reading' materials and people needed to make a literary form instead of the melodies. Also, a Sijo using formulas was considered as a banal one and fresh expressions settled down. Adding a purpose of establishing a formal poetry of Choseon, modern Sijo scholars had completed a Pyungsijo form by extracting the forms from an old Sijo. And they confirmed this discussion through the systems such as <Own Literary Circle> and <Literary Contest>.
    In this process, Eotsijo and Saseolsijo which had relatively free form were excluded and the works which used formulas of Old Sijo or Chinese poetries were considered as a banal expression way. As a result, people began to create sensible Sijos that consist of easy poetic words after the middle of 1920s, focusing on a Pyungsijo. In other words, orality of a Sijo was completely removed and only its literacy rema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