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도 일산배기마을 사람들의 조내기고구마 생산경험과 기억의 재구성 (Reconstruction of Yeongdo Ilsanbaegi Village People's Memory and Production Experience of Jonaegi Sweet Potato)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5.11
31P 미리보기
영도 일산배기마을 사람들의 조내기고구마 생산경험과 기억의 재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57호 / 299 ~ 329페이지
    · 저자명 : 차철욱

    초록

    본 연구는 영도에서 생산되다가 사라진 조내기고구마를 소재로 하였다. 영도는 역사적으로 부산의 도심 배후지로서 기능해 왔다. 고구마는 개항기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드물게 영도에서 재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내기고구마를 생산한 일산배기마을은 지형적으로 산 정상에 가까운 곳이었다. 이곳의 토질은 수분이 적고 황토 흙이어서 고구마와 보리 이외의 농사는 불가능한 곳이었다.
    일산배기마을 사람들이 ‘조내기고구마라’는 품종을 재배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구마 생산은 40여 년 전에 중단되었다. 이들 기억 속에 조내기고구마는 주어진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고, 최소한의 생존을 위해 재배되었다. 고구마 생산은 가난의 상징이었다. 이후 수익이 나은 채소농사로 변경한 이래 조내기고구마에 대한 기억은 전혀 드러나지 않고 가라앉아 있었다.
    그런데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조내기고구마를 영도의 대표 표상으로 제안하면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조내기고구마 생산경험자들의 기억을 끌어내는 계기가 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자신들이 생산했던 고구마가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맛있는’ 상품으로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일상의 경험과 기억이 생활환경에 따라 재구성되는 방식을 탐구해 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영어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Jonaegi sweet potato, which had once been produced in Yeongdo. Historically, Yeongdo served as an urban hinterland of Busan. Records indicate that sweet potato was sometimes produced in Yeongdo since the opening port era. Ilsanbaegi village, which used to produce Jonaegi sweet potato was topographically located near the top of a mounta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is area was limited to sweet potato and barley since the quality of the soil was mainly red clay lacking in moisture.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Ilsanbaegi village people had produced a species of sweet potato called 'Jonaegi.' However, Ilsanbaegi village people stopped growing sweet potato some forty years ago. According to their memory, production of Jonaegi sweet potato was due to circumstances beyond their control, a minimum requirement to survive. Sweet potato production was a symbol of poverty. Later on, as people switched over to producing vegetables, which were more profitable, the memory of Jonaegi sweet potato sank into the limbo of oblivion.
    Recently, however, a variety of businesses has taken off with the local government's proposal to use Jonaegi sweet potato as the representative emblem of Yeongdo. This motivated the local people to retrieve the memory of those who had experience in producing Jonaegi sweet potato. The village people started to reconstruct their memory of the sweet potato they had grown as 'the oldest' and the 'best tasting' sweet pota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eople's everyday experience and memory a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ir living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