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3代 왕조 부부의 한글편지<御筆諺簡> 서체 형성의 상관관계 고찰 (Consideration on Correlation of Chirography Formation in Letters with Korean Alphabet Written by 3 Royal Couples in Joseon Dynast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8.03
43P 미리보기
조선조 3代 왕조 부부의 한글편지&lt;御筆諺簡&gt; 서체 형성의 상관관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32호 / 129 ~ 171페이지
    · 저자명 : 박정숙

    초록

    조선 왕조 3종혈맥(三宗血脈)으로 유명한 효-현-숙종 3대 왕은 우연하게도 명필가로 유명한 3종서맥(三宗書脈)으로 재탄생하였고, 삼대(三代) 임금의 왕비인 인선왕후, 명성왕후, 인현왕후도 역시 3종 서맥을 이루었다. 3종 혈맥의 조종격인 제17대 효종은 조선 역대 명필로 손꼽히는 왕이다. 이러한 효종 혈맥의 서예적 우월성은 이하 제18대 현종을 거쳐 제19대 숙종에 이르기까지 서맥이 이어졌고,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의 한글 궁체류 서간서체의 필사력은 며느리인 현종의 비 명성왕후, 그리고 손자 며느리이며 숙종의 비인 인현왕후에 이르기까지 한글명필로 그 명성이 이어졌다. 이러한 일련의 3대 왕과 왕비의 서사력은 서로 보이지 않는 서예적 영향을 받아 3종 서맥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1600년대 왕실에서의 한글편지 서체 형성은 1700, 1800년대 궁중의 궁체형성의 효시역할과 1400년대 최초의 필사체인 상원사권선문(1464)의 한글서체 생성이후 큰 가교역할을 해 왔다고 볼 때 대단히 중요한 자료라고 말 할 수 있다. 이에 이들 서맥이 어떻게 이어지고,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서체적 유사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이들 3대왕과 왕비 6인의 한글편지 분석을 통해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의 한글편지는 3대 왕과 왕의 부인 6인이 직접 쓴 115건의 편지 중 필사시기를 고려하여 효종 10건, 현종 10건, 숙종 8건, 인선왕후 10건, 명성왕후 7건, 인현왕후 5건 등 전체 50건을 엄선하여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이 연구를 위해 이들이 남긴 한글편지 분석을 통해 3대 왕과 3대 왕비의 친필에 나타나는 장법의 특징, 문자결구의 특징, 자모 용필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기본으로 장법미, 결구미, 용필미를 비교하여 유사도(類似度 : 싱크로율 : synchro率)의 상관관계 정도를 파악한다. 장법의 분석으로는 배자형식 분석으로 축선형식, 외형중첩형식을 분석하여 부합도 정도를 분석하고, 결구법 분석으로는 초중성합자, 초중종성합자를 분석하며, 용필법 분석은 기본자모음 28종의 구조를 분석하여 최종으로 고부간(인선:명성, 인선:인현, 명성:인선), 부부간(효종:인선, 현종:명성, 숙종:인현) 등으로 나누어 6인의 서체 유사도를 검증하여 관계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대 왕 중에는 현종과 숙종과의 유사율이 가장 높고, 효종과 숙종과의 유사율이 가장 낮았으며, 3대 왕비 중에는 효종비 인선왕후와 명성왕후와의 유사율이 가장 높고, 인선왕후 : 인현왕후와 명성왕후 : 인현왕후의 유사율은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3대 왕과 왕비 즉 부부간의 유사율은 효종:인선왕후와의 유사율과 현종:명성왕후의 유사율이 비슷하게 아주 높고, 숙종:인현왕후의 유사율이 아주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가까이에서 생활을 한 부자간의 왕 사이나 부부간의 왕과 왕비 사이의 유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효과로는 명필서체 발굴 응용에 따른 예술적(학문적) 발전 기여도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논문에서 분석한 유사도(싱크로율synchro率)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일반 가문별 서체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King Hyojong, King Hyeonjong and King Sukjong were known as the royal lineage of three kings in Joseon dynasty, and they were coincidentally famous for calligraphy, so they were also noted as the calligraphic lineage of three kings. Their wives Queen Inseon, Queen Myeongseong and Queen Inhyeon were also renowned for calligraphy. The 17th King Hyojong was one of the best calligraphers in Joseon dynasty, and the 18th King Hyeonjong and the 19th King Sukjong succeeded to his calligraphic superiority. In addition, Hyojong’s wife, Queen Inseon’s ability to write the court style of Hangeul script in letters was succeeded by her daughter-in-law and granddaughter-in-law, and her reputation as the master calligrapher continued to them as well.
    The transcribing abilities of three kings and three queens formed the calligraphic lineage of three kings due to invisible calligraphic influences. The Hangeul chirography in letters in the royal court in the 1600s was the beginning of forming the court style of writing Hangeul script in the 1700s and 1800s, and it has played a role as a bridge to develope the court style of writing Hangeul script since Hangeul chirography of Sangwonsa Gwonseonmun(1464), the first handwriting script in the 1400s, was formed. Therefore, the letters written in Hangeul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Thus, by analyzing the Hangeul letters of these three kings and three queen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ir calligraphic lineage are connected, what kind of influence they have, and how similar the chirographic similarity is.
    Among the 115 letters written by the three kings and the three queens, 50 letter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and the Hangeul letters to be covered in this study are: 10 letters of King Hyojong, 10 of King Hyeonjong, 8 of King Sukjong, 10 of Queen Inseon, 7 of Queen Myeongseong, and 5 of Queen Inhye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isposition law, character structure, and brush wielding in the handwritings of the three kings and the three queens. Based on this analysis, it investigated a correlation of degree of similarity by comparing them based on the disposition beauty, the structure beauty, and the brush wielding beauty.
    It investigated the degree of conformity by analyzing the type of disposing characters based on the axial type and the shape superposition type in terms of the disposition law. It analyzed the combined character of initial consonant and vowel and the combined character of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in terms of the structure law. At last, it examined the structures of 28 fundamental consonants and vowels in terms of brush wielding law. Therefore, it tried to figure out the relation by verifying the similarity of six people’s chirography dividing into two groups: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Inseon:Myeongseong,Inseon:Inhyun, and Myeongseong:Inseon) and the couple (Hyeongjong:Inseon, Hyeonjong:Myeongseong, Sukjong:Inhy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