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士人의 만남과 절교 -李楨과 曺植의 사례를 중심으로- (Meeting and breakup of Joseon scholars –Focused on the cases of Lee Jeong and Jo Shik-)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2.12
27P 미리보기
조선 士人의 만남과 절교 -李楨과 曺植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62호 / 61 ~ 87페이지
    · 저자명 : 박동욱

    초록

    절교는 두 사람 간의 반목과 결별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대 진영과의 싸움으로 그 전선이 확대되기도 한다. 이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南冥 曺植과 龜巖 李楨의 절교다. 남명과 구암은 꽤 오랜 세월 道義로 사귐을 이어오다가 ‘하종악 후처 淫行事件’이 계기가 되어 절교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물론 이 사건이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유일한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
    남명과 구암의 절교는 사실 양자의 문제가 아닌 구암의 스승인 퇴계를 포함한 삼자의 문제로 볼 수도 있다. 퇴계의 의도 유무와 상관없이 남명과 구암의 반목에 그가 큰 영향을 미쳤음은 분명하다. 두 사람의 단순한 절교로 끝날 듯 보였던 이 사건은 남명과 퇴계의 문도들 간의 저격과 해명으로 이어졌고, 남명과 구암 두 집안 후손들이 서로의 입장을 밝히는 글을 쓰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남명학파와 퇴계학파가 틀어지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되어 북인과 남인으로 나누어졌으니, 한 개인의 절교가 지성사의 분기로까지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퇴계는 1570년, 구암은 1571년 남명은 1572년에 각각 세상을 떠나면서 이 세 사람의 이야기도 끝이 났다. 절교 문제에 있어서 누구의 잘잘못을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하지만 만약 두 사람이 절교하지 않았다면, 구암이 남명과 퇴계학파의 훌륭한 가교 역할을 했었다면, 정인홍이 몰락하지 않고 남명학파가 퇴계학파와 대등하게 성장했다면 어땠을까를 상상해 봤을 때 아쉬운 마음이 들 수밖에 없다. 모든 일이 상상한 것처럼 풀렸다면 주자학 일색인 조선의 학문이 좀 더 다채로운 스펙트럼으로 확장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영어초록

    Breaking ties does not end with antagonism and separation between two people, but sometimes the frontline expands into a fight with the opposing camp. A case that shows this well is the breakup of relations between Namwu Choo-soo and Yangwu Lee-joo. It has been known that Nammyung and Guam had been dating for quite a long time through morality, but broke off their relationship due to the ‘indecent affair with Ha Jong-ak’s second wife’. Of course, it is true that this incident played a decisive role, but it cannot be said to be the only cause.
    The severance of relations between Nammyeong and Guam can actually be seen as a matter of three parties, including Guam's teacher, Toegye, rather than a matter of both. Regardless of Toegye's intention, it is clear that h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eud between Nammyeong and Guam. This incident, which seemed to end with a simple severance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led to sniping and clarification between the disciples of Nammyeong and Toegye, and resulted in the descendants of the two families writing articles clarifying their positions. In the end, it became a decisive opportunity for the Nammyeong school and the Toegye school to diverge, and they were divided into northerners and southerners, so it can be seen that one individual's breakup led to the divergence of intellectual history.
    Toegye passed away in 1570, Guam in 1571, and Nammyeong in 1572, respectively, and the story of these three people came to an end. There is no point in arguing who is right or wrong in the issue of breaking up relations. However, if the two did not break off, if Guam served as a great bridge between Nammyeong and Toegye's school, and if Jeong In-hong did not fall and the Nammyeong school grew up on an equal footing with Toegye's school, it is inevitable to feel regret when imagining what it would have been like. If everything worked out as imagined, wouldn't it be possible for Joseon's studies, which were dominated by Neo-Confucianism, to expand into a more colorful spectr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