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임기 여성을 위한 엽산섭취빈도조사지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Folate Intake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2.04
11P 미리보기
가임기 여성을 위한 엽산섭취빈도조사지 개발 및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7권 / 2호 / 156 ~ 166페이지
    · 저자명 : 한보람, 배현숙

    초록

    본 연구는 97명의 가임기 여성(20~39세)을 대상으로 엽산 섭취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적 엽산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고자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 및 특이도를 평가하였다. 엽산섭취빈도조사지와 24시간 회상법은 약 3개월간격을 두어 각각 2회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의 평균나이는 22.5 ± 0.4세이었고, BMI은 평균 20.0 ± 2.4 kg/m2 이었다.
    2)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엽산섭취빈도조사지의 1, 2차 사이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엽산을 포함한 대부분의영양소에서 평균값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Spearman 상관계수의 범위가 0.37(티아민)~0.61(칼슘)로 모든 영양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p < 0.05), 엽산은 0.53의 상관성을 보였다(p < 0.001). Pearson 상관분석에서도 Spearman 상관계수와 유사한 범위를 보였고(0.20~0.54), 엽산은 0.49의 상관성(p < 0.001)을 나타내었다. 1, 2차의 엽산 섭취량에 따른 교차분류를 통해 일치도를 본 결과, 같은 분위에 속하는 비율이 36.1%(35/97 명)이었고, 같거나 근접한 분위에 속하는 비율이 83.5%(81/ 97명)이었다.
    3) 타당도 검증 시 엽산섭취빈도조사지(1차)의 영양소 섭취량과 24시간 회상법의 평균값(2일)을 비교한 결과 엽산과 비타민 C에서 두 방법 사이에 섭취량 평균값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pearman 상관계수의 범위가 0.03(비타민A) ~ 0.46(칼슘)로 14가지 영양소에서 유의한 상관성을보였으며(p < 0.05), 엽산의 상관계수는 0.24이었다(p < 0.05). Pearson 상관분석에서도 Spearman 상관분석 결과와 유사한 범위를 나타내었고(0.03~0.51), 엽산은 0.26 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두 방법 간의 엽산 섭취량에 따라교차분류를 실시한 결과 같은 분위에 속하는 비율이39.2%(38/97명)이었고, 70.1%(68/97명)이 같거나 근접한 분위에 속하였다. 4분위 분류정도에 따라 24시간 회상법에서 가장 낮은 분위로 분류된 사람들 중 엽산섭취빈도조사지의 결과도 가장 낮은 분위로 분류될 확률이 50.0%, 그 근접분류될 확률이 62.5%이었고, 24시간회상법에서 가장 높은 분위로 분류된 사람들 중 엽산섭취빈도조사지의 결과도가장 높은 분위로 분류될 확률이 40.0%, 그 근접분류될 확률이 60.0%이었다.
    4)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한 결과, 24시간 회상법에서 추정된 엽산 섭취량이 불량한 대상자 중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엽산섭취빈도조사지에서도 엽산 섭취불량으로 판정된 대상자의 비율(민감도)이 64.3%이고, 24시간 회상법에서 엽산섭취가 양호하다고 판정된 대상자 중에서 엽산섭취빈도조사지로 측정하였을 때 엽산섭취가 양호하다고 판정된 대상자의비율(특이도)이 62.3%이었다.
    따라서 본 엽산섭취빈도조사지의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및 특이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임상연구에서 단시간에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엽산섭취 조사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인 간의 변이를 설명할수 있는 식품목록 선정 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한다면 더욱 정확하고 타당성이 있는 조사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assessing folate intake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We developed a 30-item FFQ, and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97 women aged between 20 and 39 yrs using the FFQs and 24-h recalls, which were carried out twice, respectively. Assessing the relia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53 (Spearman’s) and 0.49 (Pearson’s) for fol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olate intake between FFQ1 and FFQ2. 36.1%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quartile and 83.5% into the same or adjacent quartile divided by folate intake. On determining the validity, the mean folate intake obtained from the FFQ (FFQ1) and 24h-recalls (2-d) were 306.6 ± 167.2 µg/d and 326.9 ± 103.3 µg/d,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late intakes from the two metho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folate were 0.24 (Spearman’s) and 0.26 (Pearson’s). 39.2% of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e same quartile and 70.1% were into the same or adjacent quartile. In addition, sensitivity (64.3%) and specificity (62.3%) were estimated to evaluate the adequacy of folate in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FFQ would be a useful and a valuable instrument to assess the intake of folate among the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7(2) : 156~166, 201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데터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