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지역의 고문서ㆍ고서 정리현황과 조사방법 (Arranging and Surveying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in the Gangwon Reg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1.08
27P 미리보기
강원지역의 고문서ㆍ고서 정리현황과 조사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9권 / 273 ~ 299페이지
    · 저자명 : 황은영

    초록

    지역사 연구와 관련한 생활사 연구에 대한 관심은 지역 생활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지역 소재 고문서ㆍ고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양상은 다시 지역 고문서ㆍ고서의 조사로 이어졌다.
    지역 고문서ㆍ고서의 조사는 1980년대에 들어 한국학 관련 연구기관들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강원지역의 경우는 1989년 문화재관리국의 조사 보고에서 화재, 兵亂, 그 외에 극심한 6ㆍ25 전쟁의 피해로 종가ㆍ향교ㆍ서원 등에서 전승되는 典籍이 거의 없고, 급격한 근대화, 산업화의 과정에서 이미 소실 또는 폐품화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자료도 비세거인이 수집하였거나 대학박물관 또는 향토박물관이 수집한 것으로 各地, 各人으로부터 구입 또는 기증받은 수집이기 때문에 지역별 및 시대별 성격을 구명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하여 그 동안 고문서ㆍ고서의 불모지로 인식되어 왔다.
    이 글은 필자가 참여한 강원지역 고문서ㆍ고서에 대한 현장조사의 과정과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아직 조사가 진행 중에 있어 앞으로의 결과물과는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문화재관리국의 조사처럼 비관적이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그간 강원지역 내에서 이루어진 고문서ㆍ고서의 조사에 대한 현황을 분석해보면 현재까지 파악된 강원지역의 고문서ㆍ고서 소장처는 212곳이고, 소장자료의 점수는 46,000여점에 달한다. 이들 소장처 가운데 자료가 있다고 알려졌지만 미확인된 곳이 65개소, 자료를 공개하지 않는 소장처가 3곳이다.
    이러한 자료조사를 위해서 필자가 소속된 고문서연구센터에서는 사전 준비 단계로 관련 지역 발간 문헌, 그간의 관련조사 실시 현황, 고문서연구센터 연구원들이 그간 개별적으로 알고 있는 소장처에 대한 확인 작업을 통해 이미 조사된 적이 있거나 소장 가능성이 있는 곳을 파악한다.
    현지조사에서는 자료의 탈진과 평판작업, 목록작성 및 촬영 작업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그 동안의 해당지역 인적 네트워크가 큰 도움이 되고, 무엇보다 자료의 열람을 허락한 소장자 분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감사의 마음이 필요하다.
    조사 내용의 정리 시에는 세부 목록 수정과 촬영 이미지에 대한 네이밍 작업, 사진 편집 작업이 이어진다.
    현재의 이러한 조사는 그간 지역의 유존자료 발굴에 기여하였으나 정리작업은 이제 준비단계로 아직 연구자들이 이를 사료로 활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렇게 조사된 개인ㆍ단체의 소장자료가 앞으로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전국적으로 진행 중인 디지털 사업과 연계된다면 강원도뿐만 아니라 한국사의 역사와 문화 정립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 기대된다.

    영어초록

    Interest in regional historical studies about everyday life leads to interest in old books found in regional areas that help to elucidate local daily life. This, in turn, leads to surveys about regional books.
    Surveys of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1980s, mostly by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Korean Studies. According to the 1988 survey report by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destruction caused by fire, war, and the Korean War resulted in the nearly entire loss within the Gangwon region of old books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head families, Confucian temple schools and local schools (seoweon).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furthermore led to their disappearance or neglect. There are often cases where investigation by region or time period is difficult owing to acquisition by collectors from outside the region, or to purchases by or donations by locales or owners to university libraries or rural museums, which has made the appearance of local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seem rare.
    This paper comprises the process and investigation of the on-site survey of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in the Gangwon region in which the present researcher participated. The survey is still underway, and future results may differ somewhat from the present one, but the results will not be nearly so pessimistic as that by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Ana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within the Gangwon region shows 212 locations where old books are kept or stored, and 46,000 items. There are 65 locations which report having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but which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3 locations do not make their collection public.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preparatory-stage research at the Ancient Documents Research Center to which she belongs, by locating sites where investigations had already been conducted or with the possibility of holding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a process which entailed confirmations about regional publications, existing surveys, and those places known by researchers at the Old Book Research Center.
    On-site investigation included the determination of lost works, evaluation, cataloguing and photography. This process was greatly aided by personal networks within each region, and the kind permission by owners/holders to allow their collections to be viewed.
    Detailed revisions to cataloguing and photo images during the organizing part of the investigation led to activities such as naming and image editing.
    This kind of survey has contributed to the uncovering of surviving data in regional areas, but the organizing of the data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so scholars cannot yet use the data for their research. But it is hoped that once the data from individuals and groups has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digitalized in keeping with the national trend, it may contribute to not only Gangwon’s local history but the national history and cultural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