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상건 가야금산조의 음악적 특징 연구 (A Study on a Characteristic of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0.06
16P 미리보기
심상건 가야금산조의 음악적 특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 / 49권 / 49호 / 153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진경

    초록

    심상건(沈相健, 1889~1965)은 20세기 전반기 유성기 음반 취입, 방송 및 공연 출연 등 활발한 음악활동을 했던 가야금 명인이다.
    본고에서는 심상건 가야금산조의 조현법과 장단 구성, 악조 등을 통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밝혀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현재 전승되고 있는 가야금산조와의 차이점과 함께 논급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단 구성은 ‘진양조-중모리-자진모리’를 기본 틀로 하는데, 이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가야금산조 또는 가야금산조의 시조인 김창조의 초기 산조와도 다르다. 이에 더해서 음원 자료마다 구성의 차이가 있어 즉흥적으로 장단을 구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심상건 가야금산조는 독특한 조현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보편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가야금산조와 달리 주로 사용되는 청이 다르며, 낮은 음역의 심오하고 편안한 선율 전개가 가능하다.
    셋째, 악조에 있어서는 현행 가야금산조가 징(g′)을 중심음으로 하는 g청 중심의 선율이 많은 것에 비해 심상건 가야금산조는 당(d′)을 중심음으로 하는 d청 선율이 많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심상건의 조현법을 사용하여 d청으로의 변청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청의 운용이 단순하여 대부분 한 장단 안에서는 하나의 청으로 진행한다. 대신 조성과 무관한 음의 출현이나 시김새의 변화를 통해 일시적인 변청 선율을 삽입하여 선율이 단순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이는 심상건 가야금산조가 틀에 짜여진 정형화된 산조가 아닌 즉흥적인 음악요소를 담고 있는 증거이다.
    넷째, 심상건 가야금산조는 계면조의 비율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창조계의 전남제 계면조와 다르게 들리는 이유는 심상건 가야금산조의 계면조에서는 꺾는 음을 살짝 치듯이 연주하거나 깊이 꺾지 않음으로써 전남제 가야금산조의 애조 띈 성음과 달리 밝고 경쾌한 성음으로 감지된다.
    심상건 가야금산조는 독주 시나위의 성격이 강하여, 전승이 되면서 다듬어지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다른 가야금산조에 비하여 정제미가 부족하나 심상건만의 독특한 조현법을 사용하여 여타 가야금산조와 차별화된 독창적이고, 심미(深味)한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심상건은 즉흥성이라는 산조 본래의 의미를 충실하게 수용하여 독특한 자기만의 음악세계를 구축한 뛰어난 가야금 명인이었다고 할 수 있겠고, 이 점이 그의 활발한 음악 활동을 가능하게 했다고 본다.
    한편, 본고에서 심상건 가야금산조의 모든 장단을 분석한 결과 심상건 가야금산조는 선율 뿐 아니라 장단 구성과 같은 틀도 고정화되지 않은 즉흥적인 산조라는 것을 논증하였다. 이로 인하여 현행 김창조계의 가야금산조와 달리 전승이 어려웠고, 현재 음원자료나 복원연주로 밖에는 들을 수 없는 산조가 된 것이다.

    영어초록

    Sim Sang-geon(沈相健, 1889-1965) is a Gayageum master who had done music activities briskly such as phonograph album recording, broadcasting and performing appearanc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its characteristic through a tuning method, Jangdan(長短, rhythmic cycle) composition, and key & mode in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mentioning this together with a difference from Gayageum Sanjo, which is being now transmitted.
    First, the Jangdan composition has the basic frame as ‘Jinyangjo - Jungmori - Jajinmori.’ This is different either from Gayageum Sanjo, which is being passed down now, or from Kim Chang-jo's early Sanjo, which is the root of Gayageum Sanjo. In addition to this, every music source data has a difference in composition. Thus, it was confirmed that Jangdan is being formed spontaneously.
    Second,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uses a unique tuning method, thereby having different Cheong(音高, key), which is used mainly, unlike Gayageum Sanjo that is being conventionally handed down generally, and thereby being available for the profound and comfortable melody development in the lower register.
    Third, in key and mode, other Gayageum Sanjo(s) have many melodies of centering on g Cheong based on Jing(g′). On the other hand,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comprises the majority of d-Cheong melody focusing on Dang(d′). This phenomenon is because of having been easy for transposition into d Cheong through using Sim Sang-geon's tuning method. And the operation of Cheong is simple. Thus, one Cheong is progressed mostly within one Jangdan. Instead, melody is not felt to be naive because of developing the melody with a temporal transposition through the appearance in tone or the change in Sigimsae irrelevant to tonality. This is the evidence that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contains an improvised musical element, not the standardized Sanjo that is framed.
    Fourth,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has a high proportion of Gyemyeonjo(界面調, sad and weeping mode). Nevertheless, the reason for being listened differently from Jeonnamje Gyemyeonjo(界面調) in Kim Chang-jo's Gayageum Sanjo is that Gyemyeonjo in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has bright and cheerful seongeum, not affectionate seongeum in the existing Jeonnamje Gayageum Sanjo, through playing a breaking note lightly or not cracking deeply.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is strongly characterized by solo Sinawi(神房曲), thereby having no process of being well-groomed with being transmitted. Hence, it is short of the refined beauty compared to other Gayageum Sanjo(s) , but is composed of the originative and esthetic melody differentiated from other Gayageum Sanjo(s) through using own peculiar tuning method. From this point of view, Sim Sang-geon may be considered to have been an excellent Gayageum master who established own unique musical world through faithfully accepting the original meaning of Sanjo dubbed improvisation. This thing is regarded as what made it available for her brisk musical activity.
    Meanwhile,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all movements in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Sim Sang-geon's Gayageum Sanjo was proved to be improvisatory Sanjo, which is not fixed even the frame like Jangdan composition as well as melody. This led to having been difficult for transmission unlike the current Kim Chang-jo's Gayageum Sanjo, and to having become Sanjo that cannot help being listened now just with music source data or restoration perform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