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희 소설 <별사>의 서사구조 분석 (An Analysis of Good-bye , a Novel Written by O Jeongh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4.09
38P 미리보기
오정희 소설 &lt;별사&gt;의 서사구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105호 / 115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혜영

    초록

    이 논문에서는 별사 가 충동의 실체 찾기라는 탐색의 서사로 이루어져 있다 고 보고, 이 탐색의 구조가 여로나 회상, 병치 형식과 맞물려서 어떻게 중층적인 의미망을 형성하는가를 고찰하였다. 이 소설은 낯선 곳으로의 여정을 통해 변화 하는 자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회상이 현실적 사건과 중층적으로 연 결되면서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낸다는 점, 서로 다른 초점 화자를 등장시켜 시 점을 교차시키는 병치 형식을 통해 공간적 단절감이나 개체로서의 지향을 구체 화한다는 점에서 서사 구조가 의미 형성에 관여하는 정도가 큰 작품이다. 그런 만큼 작품의 서사구조가 의미를 형성하는 데 관여하는 양상을 밝히는 일이 필요 하다고 보았다. 먼저, 정옥을 친정집으로 이끈 충동의 실체란 죽음을 만나고자 하는 욕망으로 보고, 정옥이 여정 동안 느끼는 낯섦, 두려움, 섬뜩함 등의 감정이 죽음과의 만남에서 오는 것이라는 점을 분석하였다. 안식 묘원에서 이루어지는 매장 장면을 남편에 대한 회상 장면과 중층적으로 배치하여 존재가 사라지는 순간을 확인하고, 남편에 대한 기억을 매장하는 방식으로 남편과의 이별을 수행 하도록 하고 있으며, 묘원에서 내려와 백중재가 열리는 절에 도착하도록 함으로 써 정옥의 여정을 애도의 과정으로 연결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남 편 초점의 서사와 정옥 초점의 서사를 병치하여 정옥과 남편 사이의 공간적 단절감을 부각시키면서도, 서로 다른 공간에서도 반복되는 죽음의 사건을 보여 줌으로써 공간의 단절과 죽음의 편재성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사람의 서사를 병치시킴으로써 두 사람이 서로 다른 지향을 갖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 고, 존재의 개체성을 강조하면서 죽음이란 개별적인 존재 사건이라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고 보았다. 여로, 회상, 초점화자의 교체와 같은 서사구조의 분석을 통해 별사 의 서사를 추동하는 힘은 시공간적 병치이며, 대상이나 사건의 중층 적 연결이 오정희 소설의 서사를 이해하는 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Good-bye>, like most of O Jeonghi's novels, deals with themes of loss such as death and separation in view of a female perspective. However, this novel holds a different point from other novels in that it shows a changing self through a journey to an unfamiliar place. Reminiscences are connected in layers with realistic events. It creates new narratives and embodies a sense of spatial disconnection or orientation as an object through a juxtaposition form that intersects points of view by appearing different focus speakers. This paper regarded the novel as a narrative that explored the reality of impulses, focusing on the journey of Jeongok who followed her impulses by seeing the image of death in the figure of her father and wanting to visit the Sabbatical Cemetery. Results confirmed that Jeongok's journey involved confronting potential death, parting with her husband, and going through a mourning process in which she wished for her husband's peace. Furthermore, this paper found that this novel explored how the juxtaposition of the husband's narrative with Jeongok's narrative concretized themes of space, death, the omnipresence of death, and human individ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