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風雲雷雨 악장 연구 (A Study on Poong'un'roi'oo Akj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2.08
30P 미리보기
조선조 風雲雷雨 악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30호 / 273 ~ 302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바람⋅구름⋅우레⋅비 등 기상의 요인들은 마을마다 존재하던 성황신과 함께 산천단에 배향되어 큰 규모로 致祭되었는데, 그것들은 모두 백성들의 安危나 풍요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雨順風調는 곡식의 생장과 결실에 절대적인 조건이었고, 곡식의 충실한 생장은 백성들의 삶과 직결되었다. 그래서 백성들은 식량을 하늘로 여겼고, 왕도정치를 행하고자 하던 임금은 백성을 하늘로 여겼다. 사실 풍운뇌우의 신과 산천신, 성황신 등에 대한 제사는 유교이념 사회에서 淫祀로 지목받을 가능성이 컸던 민간신앙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을 국가의 제례로 흡수하여 제도화 시키고 중앙에서 관장하려 한 것은 중앙집권적 통치 구조의 구현과 동시에 민심을 국가의 발전에 동참시키고자 한 왕조의 철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런 생각을 담으려 했던 「풍운뇌우악장」은 여타 아악악장들과 마찬가지로 고전들로부터 의미 있는 구절들을 따다가 모아놓는 수준의 제작 관행을 벗어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작자는 당대의 文衡으로서 국가 제의 관련 논의의 핵심에 위치하던 변계량이었지만, 아악악장 제작의 관행이나 관습에 매여 악장의 상투성만을 심화시키는 데 그쳤던 것이다. 제사절차를 갖추고 신령에게 降福을 기원한 것이 <전폐악장>이고, 풍운뇌우의 덕을 찬양하고 강복을 기원한 것이 <초헌풍운뇌우악장>이며, 산천의 덕을 찬양하고 강복을 기원한 것이 <초헌산천악장>이다. 또한 성황신의 덕을 찬양하고 임금의 수복과 왕조영속을 기원한 것이 <초헌성황악장>이고, 예의를 갖추어 제사를 마치고 강복을 기원한 것이 <철변두악장>이다. 원래 변계량이 제작한 이 악장들은 그 후 祭次를 수정하거나 변경하면서 순서와 내용에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변계량이 구절들의 대부분을 각종 고전으로부터 摘句해왔고, 부분적으로는 선행 악장들의 모티프를 차용하거나 창안을 보태어 작품을 이루어냈는데, 이것이 당대 아악악장들을 제작하던 관행이었다. 변계량은 「풍운뇌우악장」과 함께 「선잠악장」도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제작방법이 비슷한 점으로 미루어 여타 아악악장들도 변계량의 제작일 가능성이 농후하나 아직 속단할 수는 없다.

    영어초록

    From traditional ear, factors of weather like wind, cloud, thunder, and rain have been performed enshrinement in Sancheondan on a large scale with the God of village shrine, those had an important meaning in people's comfort and safety or richness. Favorable weather was an absolute condition, grain's enough growth was connected directly with people's life. Therefore, people thought grain as their Heaven, King who wished to do the rule of virtue thought people as his Heaven. As a matter of fact, the rite for the God of Poong'un'roi'oo, God of Sancheon, God of village shrine was a popular belief which was possible to be pointed out as a rite for vicious God in the Confucian society. Nevertheless, the measure that they absorbed them as ceremonies of national rites and took charge of them in central government is related with the dynasty's philosophy that they wanted to establish a system of power centralization, at the same time, let the people's mind concentrate to national development. We can make ascertain Poong'un'roi'oo akjang not getting out of tradition making akjang with the level capturing the phrases from old books like the other a-ak akjangs. Byeon, Gye-Ryang, the maker of Poong'un'roi'oo Akjang kept a key position in the discussion about the ceremonies of national rites as the greatest civil service, nevertheless, he simply widened akjang's conventionality. He made Jeonpye akjang for praising the virtue of Poong'un'roi'oo and praying benediction, Choheonsancheon akjang for praising the virtue of mountains and streams, and praying benediction, Choheonseonghwang akjang for praising the virtue of village shrine's God and praying benediction, Cheolbyeondoo akjang for praying benediction after performing enshrinement politely.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order and contents right after revising or shifting the processes of enshrinement in the akjang works made by Byeon, Gye-Ryang. He composed the akjang works with assembling the phrases from the old books, or motifs borrowed from the other akjangs ahead, or created by himself. It is a convention making a-ak akjang at that time. He composed Seonjam akjang with the Poong'un'roi'oo akjang, it is very possible that he made Seonjam akjang, guessing the similar technique, we can not conclude hastily y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