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양조 6박론에 대한 의문 (The Question about Chinyangjo Six-beat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8.06
33P 미리보기
진양조 6박론에 대한 의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60호 / 161 ~ 193페이지
    · 저자명 : 전인평

    초록

    진양조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하는 문헌은 1863년 간행으로 추정되는 『三竹琴譜』와 1921년 간행의 『東大律譜』이다. 이 악보는 매화점(梅花點)만으로 적혀 있지만, 24박이 한 장단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진양조 장단은 1990년대 중반 이전만 해도 모든 개론서에 모두 24박으로 소개하고 있었으나, 1995년 『전통음악개론』에 진양조 6박론을 소개한 후, 이제 여러 논문에서 인용하고 있고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 논문은 각종 국악 문헌에 나오는 진양조 장단의 24박론과 6박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진양조 6박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6박론보다는 24박론이 더 합리적이라는 의견을 개진하기 위하여 이 논문을 작성하였다.
    진양조 6박설은 이보형(李輔亨)이 1977년 “판소리 고법 조사 보고서”에 소개한 이후 백대웅(白大雄)․김해숙(金海淑)․최태현(崔泰鉉) 등이 6박론을 지지하였다. 진양조 장단은 1990년대 중반 이전만 해도 모든 개론서에 모두 24박으로 소개하고 있었으나, 1995년 『전통음악개론』에 진양조 6박론을 소개한 후, 이제 여러 논문에서 6박으로 진양조를 분석하고 있다.
    필자는 진양조 6박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첫째로, 6박의 진양조는 너무 짧아서 각(刻: accent)이 없다. 둘째로, 6박 진양조 장단은 다른 장단과 달리 오직 장구점(杖鼓點) 두 점으로 구성된다. 셋째로, 6박 진양조 장단은 아시아 장단 이론에서 보이는 이론에 어울리지 않는다. 필자는 중국음악, 베트남 음악, 인도네시아 음악의 세틀 형식에 나오는 장단 기법과 이론을 한국 산조 장단에 대입해 보면 자진모리와 중모리 그리고 진양조는 상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양조 한 장단은 24박으로 보는 것이 6박론 보다 논리적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Question about Chinyangjo Six-beat Theory

    Chun, In-pyong [Chŏn In-p'yŏng]

    The first document for the term ‘chinyangjo’ 진양조 is the Samjuk kŭmbo 『三竹琴譜』(1863) and Tongdae yulbo 『東大律譜』(1921). This musical notation is written only by special symbol note (mahwajŏn 梅花點 in Sino-Korean), but it suggests that chinyangjo is consist of 24 beats. Until the mid-1990s, chinyangjo rhythmic pattern was introduced to all the textbooks as 24 beats. However, after introducing the 6th beats chinyangjo theory in the Chŏnt’ong ŭmak kaeron 『전통음악개론』(Introducti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1995), it is now adopted for various articles and is becoming a general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inyangjo beats of the 24th and 6th beats the chinyangjo pattern theory. And I wrote this paper to suggest that chinyangjo 24 beats theory is more rational than 6th beats theory.
    The 6th beats chinyangjo theory was raised by Yi Po-hyŏng 李輔亨 and supported Paek Tae-ung 白大雄, Kim Hae-suk 金海淑, Ch'oi T'ae-hyŏn 崔泰鉉, etc. In the mid-1990s, chinyangjo was adapted to the various textbooks as 24 beats.
    The author raised the problem of the 6th beats chinyangjo theory. First, six beats of chinyangjo have no ‘kak’ 刻(accent) in the rhythmic pattern. Secondly, unlike the other rhythmic patterns, the 6th chinyangjo consists of only two percussion strokes. Third, the 6 beats theory is not suited to the theory in the perspective Asian rhythmic pattern theory.
    According to my opinion, the chajin mori 자진모리, chungmori 중모리, and chinyangjo have a mutual relationship when we apply the technique and the theory of Chinese music, Vietnamese music and Indonesian music to the Korean sanjo 散調 rhythm theory.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more logical to look at the 24th beats than the 6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