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의 특징과 가치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8.12
24P 미리보기
영남대 46장본 &lt;계월젼&gt;의 특징과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42호 / 203 ~ 226페이지
    · 저자명 : 정준식

    초록

    본고는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의 서사적 특징과 이본적 가치를 탐색한 글이다.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의 도입부에는 시공적 배경이 ‘대명 홍무 연간에 청주 구계촌’으로 설정되어 있고, ‘시주・발원 대목’이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원전 계열에 명시된 ‘세 번 죽을 액’이란 문구가 그대로 수용되어 있다. 이는 단국대 103장본 계열과 한중연 45장본 계열의 도입부와는 확연히 다른 의도적 개작의 결과로 추정된다.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은 군담 2에서 적장 ‘맹길’을 ‘맹달’로 바꾸어 수적(水賊) 맹길과 오·초의 장군 맹달이 별개의 인물임을 분명히 했고, 계월과 보국의 겨루기 대목을 생략하여 실추된 보국의 위신을 회복하고자 했다. 맹달을 별도로 설정한 것은 수적 맹길이 오초의 장군이 된 것에 대한 서사적 의문 때문이고, 계월과 보국의 겨루기를 생략한 것은 보국의 위신 추락이 도를 넘었다는 판단 때문이다.
    영남대 46장본 <계ᅌᅯᆯ젼>의 군담 2에는 홍시랑의 피난여정이 생략되었다. 이는 가족이합의 반복에서 오는 지루함을 극복하고 보국과의 서술 균형을 맞추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보인다. 하지만 피난여정의 생략은 오히려 예언구도의 파괴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리고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의 어색하고 촉급한 결말은 군담 2의 변개에 따른 맹길 처벌의 ‘지연’과 예언구도의 ‘파괴’에 따른 서사 공백이 어우러진 결과이다.
    영남대 46장본 <계월젼>과 동일한 서사를 지닌 이본은 모두 5종이다. 이들은 기존의 두 계열에 비해 도입부, 군담 2, 피난 여정, 결말부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므로 새로운 계열을 설정해야 할 당위적 근거를 지녔다.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은 5종의 이본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필사되었고 내용상의 결함도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이를 새로운 이본 5종의 ‘선본’으로 삼고, 이들을 ‘영남대 46장본 계열’로 명명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남대 46장본 계열을 통해 <홍계월전>이 19세기 말경에 이르러 세 계열 이상으로 분화된 채 전승된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value as a different version in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The introduction of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presents its time and space background as ‘Gugye-chon of Cheongju in the year of Daemyeong Hongmu’, ‘the parts of Siju・Balwon’ are newly added, and the phrase stated in the original line, ‘the misfortune of dying three times’, is adopted just as it is. This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intro of the Dankook University 103 jang-version line and Hanjungyeon 45 jang-version line; therefore, it is estimated as the product of intentional adaption.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changes enemy general ‘Maenggil’ to ‘Maengdal’ in War Story 2 to deliver the fact that marine enemy Maenggil is a different person from Wu•Cho’s general Maengdal. Also, by omitting the part where Gyewol competes with Boguk, it intends to recover the dignity of Boguk. Maengdal is set additionally because of the narrative doubt about marine enemy Maenggil becoming Wu•Cho’s general and omitting the part where Gyewol fights against Boguk is attributed to the judgment that the dignity of Boguk is tarnished too much.
    War Story 2 in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계ᅌᅯᆯ젼> omits Hong Sirang’s journey of evacuation. This is seen as part of getting rid of boredom coming from repeated family meeting and parting and balancing the narration with Boguk. But omitting the journey of evacuation rather raises a new problem of destroying the predicting composition. Moreover, the awkward and hasty conclusion of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is attributed to the mixture between the ‘delay’ of punishing Maenggil due to the revision of War Story 2 and the narrative blank resulted from the ‘destruction’ of the predicting composition.
    There are total five kinds of different versions having the same narrative as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Compared to the two previous lines, they show distinctive differences in the introduction, War Story 2, journey of evacuation, and the ending,. So, we have the ground to set up the new line necessarily.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was transcribed earliest among the five kinds of different versions and indicates almost no faults in the contents. Therefore, it would be appropriate to take it as ‘the good basis’ of those new five different versions and name them as ‘the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line’. With the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line, we can clearly see that <Honggyewoljeon> was transmitted as more than three lines divided around the lat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