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젤레르의 가족극 삼부작과 정신질환의 서사 (Zeller’s Family Trilogy and a Narrative of Mental Illne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2.06
23P 미리보기
젤레르의 가족극 삼부작과 정신질환의 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 23호 / 87 ~ 109페이지
    · 저자명 : 김재경

    초록

    이 논문은 플로리앙 젤레르의 가족극 삼부작, <어머니>, <아버지>, <아들>에서 주인공인 어머니, 아버지, 아들이 겪는 정신질환의 서사를 상실감에 기초한 가족관계의 해체와 집의 의미 변화를 통해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스통 바슐라르의 공간 이론을 기준으로 주인공의 집에 대한 장소적 의미가 바뀌는 원인을 분석하고, 주인공이 집착하는 대상을 통해 주인공의 병세가 감내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을 때 마주하는 두려움의 실체에 접근한다. 홀로 남겨진 병실에서 심적으로 무너지는 주인공의 공통적 결말을 통해, 삼부작에서 집은 주인공의 삶의 의미를 드러내는 서사의 기초였음을 주장한다. 집의 의미를 상실한 개별 인간의 외로움과 이에 대응하는 가족의 모습을 조명하면서, 논문은 젤레르가 삼부작을 통해 제시한 동시대 가족의 의미가 무엇인지 전망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Florian Zeller’s family trilogy The Mother, The Father, and The Son by focusing on the mental illness of each protagonist: Anne, André, and Nicholas, in connection with each protagonist’s dismantling family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is found that the plays have a point of intersection that creates a family trilogy despite each play tending to present individual aspects. The study looks through the lens of Gaston Bachelard’s theory of space, especially focusing on the protective function of the house built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dwellers. Thus it defines the cause of each protagonist’s mental pain and investigates their damaged family relationship, tracing both the visible and invisible changes in their main space, the house.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mentally threaten each protagonist at home, and examines the essential fear each protagonist encounters when their mental condition reaches a state of irreversible damage. Analyzing the tragic ending of the protagonist who mentally collapses and is left lonely in the hospital room, the paper argues that Zell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ome as a symbolic space in sustaining human existence. The study primarily highlights the deepening loneliness of individual humans who lose their sense of home built on family relations. Further, by comparing the meaning of each play’s last lines, it invites further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the contemporary family that Zeller pres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토리앤이미지텔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