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큐멘터리 드라마와 영화적 사실주의- 안드레아스 드레젠의 <우리도 사랑한다> 분석 (Das dokumentarische Drama und der filmische Realismus - eine Analyse von Wolke 9 von Andreas Drese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4.02
24P 미리보기
다큐멘터리 드라마와 영화적 사실주의- 안드레아스 드레젠의 &lt;우리도 사랑한다&gt;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브레히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30호 / 351 ~ 374페이지
    · 저자명 : 윤종욱

    초록

    1963년 튀링엔 주에 위치한 도시 게라 Gera에서 태어난 안드레아스 드레젠 Andreas Dresen은 동독에서 영화 교육을 받은 감독 중에서 드물게 현재까지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감독이자, 현대 독일 영화계를 대표하는 감독이다.그가 그동안 감독한 극장용 장편 영화는 1999년 데뷔작 <밤에 생긴 일 Nachtgestalten>에서 시작해서 2013년에 발표한 <스탑드 온 트랙 Halt auf freier Strecke>까지 모두 여덟 편이며, 그 밖에 여러 편의 텔레비전 영화와 다큐멘터리 영화도 제작한 바 있다.<우리도 사랑한다 Wolke 9>은 그의 일곱 번째 장편 극영화로 2008년 칸느 국제영화제 ‘어떤 시선 Un Certain Regard’ 섹션에서 초연되었으며, 독일에서 50만 명에 가까운 관객을 불러 모은 화제작이다. 현재의 독일 영화계를 “블록버스터급의 상업영화들의 제작과 더불어서 작은 규모의 영화들이 제작되어 대중이 아니라 소수의 관객을 겨냥하는 작품들도 꾸준히 만들어지고 있다”고 진단한다면, 후자의 경향을 반영하는 “작은 규모”의 저예산 영화에는 드레젠의 영화들이 포함된다.본 글의 목표는 사실주의적 영화의 보다 세분화된 개념으로서의 다큐멘터리 드라마의 유용성을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안드레아스 드레젠의 영화를 다큐멘터리와 극영화의 혼성형식에 기반한 사실주의적 영화로 파악하며, 이런 특징을 가진 영화를 ‘다큐멘터리 드라마 documentary drama’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다큐멘터리 드라마는 1960년대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정 경향을 지칭하기 위해서 존 코기 John Caughie에 의해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그에 따르면 다큐멘터리 드라마의 특징은 다큐멘터리적 형식과 드라마적 형식의 혼합이다.이 글에서는 먼저 다큐멘터리 드라마가 등장한 역사적 배경과 초기 대표작에 대해 간략히 알아본다. 다음으로 다큐멘터리 드라마의 미학적 특징을 규정하기 위해서, 로제 오댕 Roger Odin과 한스 J. 불프 Hans J. Wulff의 이론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안드레아스 드레젠의 <우리도 사랑한다>를 예시적으로 분석해서, 다큐멘터리 드라마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덧붙여 오댕과 불프의 논의가 실제 분석 도구로서 의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diesem Beitrag handelt es sich um die Definition des Begriffs des dokumentarischen Dramas und dessen Anwendung auf die Analyse des Films Wolke 9 von Andreas Dresen. Um die bisher gängige Definition des Begriffs zu erweitern, wird hier auf die Theorien von Roger Odin und Hans J. Wulff eingegangen. Auch wenn der Begrifff des dokumentarischen Dramas heutzutage nicht mehr gebräuchlich ist, liegt der Vorteil des Terminus auf der Hand: es werden immer noch viele europäische Spielfilme produziert, deren Eigenarten mit diesem Begriff am besten zu erklären sind. John Caughie definierte ihn als eine hybride Form des dokumentarischen und des dramatischen Erscheinungsbildes und konzentrierte sich auf die Frage der Form. Mit Odin und Wulff werden in dieser Arbeit sowohl die Frage der Form in Bezug auf die Kognition als auch die der Diegese mitberücksichtigt. Die Besonderheit der dokumentarischen Form ist darin zu finden, dass die Zuschauer bei der Betrachtung der Bilder den kognitiven Mechanismus einsetzen, wie es im Alltag passiert. Und die diegetische Welt besteht aus vier Teilwelten, nämlich der physikalischen, der kognitiven, der sozialen und der moralischen. Im dokumentarischen Drama spielen bei der Vermittlung des authentischen Eindrucks die soziale und die moralische Welt eine besonders wichtige Rolle. Die Theorien von Odin und Wulff sind bei der Konkretisierung und der Erweiterung des Begriffs des dokumentarischen Dramas durchaus hilfrei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