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백석(齊白石) 회화구성 중 전각적(篆刻的) 요소 고찰 (A Study on the element of seal enraving in the composition of painting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0.09
22P 미리보기
제백석(齊白石) 회화구성 중 전각적(篆刻的) 요소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37호 / 253 ~ 274페이지
    · 저자명 : 이광수

    초록

    20세기의 중국사회는 근대화 과정의 변화를 겪으면서, 미술 또한 개방과 혁신의 시대를 맞이한다. 서구미술의 유입과 충돌은 전통회화의 존재에 대해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 주었고 이에 따라 전통의 계승과 혁신에 관한 많은 논쟁이 오고 갔다.
    이들 주장은 여러 형태로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나. 크게 고전의 사의(寫意) 계통과 근대의 사실(寫實)계통의 두 갈래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 寫意 쪽은 고대산수화의 전통을 계승하는 입장으로 임모 등의 학습법과 옛 규범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데서 그 근본을 찾고 있다. 근대 사실주의에 속하는 화가는 서양의 사실관념과 기교를 받아들여 이를 전통과 결합하는 새로운 양식을 추구하고 나아가 전통을 넘어서는 또 다른 가치관을 지향하였다.
    전통주의 대표적 화가인 치바이스(齊白石)과 후앙빈홍(黃賓虹)은 전통주의 회화관을 견지하면서 중국 근대회화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주요하게 보아야할 인물들이다. 이 두 화가는 전통에 자신의 회화관을 기초로 하지만, 다른 보수적인 화가들과는 달리 개혁적 성향을 갖는다는 점에서 그 특색이 있다. 이 두 화가에게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리커란(李可染) 근대 사실주의 산수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이처럼 李可染의 현대적 회화가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그의 스승이었던 齊白石과 黃賓虹의 영향이 지대하였다. 따라서 중국근대회화를 이해하기위해서는 중국화단의 마지막 전통주의 화가인 齊白石과 黃賓虹의 회화관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할 것이며, 또한 중국전통회화에 대한 총결로서 그들의 사상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As Chinese society in the 20th century has suffered changes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it encounters the era of openness and renovation. The introduction and conflicts of western art raise fundamental doubts about traditional painting and accordingly there have been many disputes over inheritance of the traditional heritage and innovation.
     Various disputes were created bu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such as traditional artist's inner world(寫意) and modern realistic description(寫實). The traditional artist's inner world(寫意) insists on inheritance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heritage and searches for the root through learning such as copy-training within the frame of old norms. Modern realism painters accept western realistic description and skills so pursue a new pattern connecting with the tradition and further aim at another point of view beyond tradition.
     Representative traditional painters, Qi Baishí(齊白石) and Huang Binhong(黃賓虹) take a viewpoint of traditional painting and have a great impact on the creation of Chinese modern painting so they are key figures. The two painters’ viewpoint of painting is based on tradition but has a distinct feature of innovative propensity unlike other controversial painters. Li Keran(李可染) who was greatly affected by those painters has been praised that he opens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modern realism landscape. Like this, the background of Keran Li's modern painting is affected by his mentor Qi Baishí(齊白石) and Huang Binhong(黃賓虹). Therefore, to understand Chinese modern painting, a viewpoint of painting of Qi Baishí(齊白石) , who are the last Chinese traditional painters should be firstly understood, and their thoughts are also very meaningful as a finale of Chinese traditional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