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줄다리기의 전승과 정월대보름제 (‘Gijuldarigi’ and Samcheok first full moon Festiv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5.03
46P 미리보기
기줄다리기의 전승과 정월대보름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15호 / 207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창식

    초록

    이 논문은 강원도 삼척지역의 제보자들의 기줄다리기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기줄다리기의 전승에 대한 구술적 복원과 문헌적 증거를 추적한 글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줄다리기의 특유한 가치 몇 가지를 도출하였다. 기줄다리기는 삼척 사람들의 공동체 공동선을 기원하는 주술적 대동성을 내재하고 있는 정월대보름놀이인데 최근에는 지역축제로서 삼척정월대보름제로 정착되었다. 줄다리기는 축제가 없는 시기에 거행되는 세시지향 전통축제였다. 과거 전통사회에서 정월대보름에는 세시놀이가 집중되어 전승되었으나, 최근 여건과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자는 일찍부터 기줄다리기의 원형 복원의 당위성을 강조해 왔다. 더구나 술비통놀이와 기줄다리기는 삼척시만의 국한된 민속유산이 아니라 한국 대표 대동놀이의 상징적 문화유산이라는 점이다. 농어촌, 말곡과 부내, 부사와 영장의 이원화에서 생성된 물러섬과 빠짐의 신명놀이의 성격을 지녔다. 초가지붕 키높이의 규모와 사대광장을 매운 놀이꾼들의 길이, 이사부 뱃줄 같은 줄틀기 등이 그 원형전승인 셈이다. 기줄다리기의 생명력은 삼척인 특유의 집단적 공동체의 센 문화DNA유산이라는 점에 기인한다.
    1974년의 기줄다리기 행사가 정월대보름제로서 죽서문화제로 개칭된 것이 1978년이다. 조선 중기 이후 지속해온 기줄다리기를 모체로 한 삼척정월대보름제는 전통의 엄격한 전승 위에 오신적 기능과 오인적娛人的)기능과 행위를 살려 현대축제로 창조적으로 계승되어야 하나 원형전승의 한계가 드러난다. 지역 주체의 향유집단에서 세련된 아마추어 구성원들이 주도해야 한다. 보존회와 보존마을, 전문가 집단이 긴밀히 소통해야 한다. 관련 기관과 단체, 산학연 등이 협력하여 기줄과 축제 유지를 위해 효율적으로 연동되어야 한다. 줄다리기 연고지역과도 적극 협력하되 선의의 경쟁력으로 상생하여 발전해야 할 측면이다.
    기줄다리기의 전통유전자를 지속하되 정월대보름제의 삼척 마인드마크 브랜드 사업은 혁신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201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기대감을 고려하여 정월대보름제는 겨울철 잠재력 있는 세시지향 융복합축제로 발전해야 한다고 살폈다. 구체적인 킬러콘텐츠 확장이 필요하다. 현재 전국 겨루기대회를 살리되 공연적 요소(역동성)와 재담적 요소(난장성)를 보태야 성공할 수 있다. 오늘날 계층의 다양한 참여유인을 위해 대동홀로그램 시도의 킬러콘텐츠가 필요하다. 복원 줄을 관광하고 즐길 수 있게 하고, 평소 찾아왔을 때에도 영상 홀로그래피를 통해 신명, 재미, 쾌감 등을 느낄 수 있는 장소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아울러 대보름민속을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축제사업을 피칭워크숍으로 추진해야 할 것을 주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vers experience and memories of the local residents in Samcheok area on participating in gijuldarigi(tug of war) and explores the background and literature on the game. Unique values of the game were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Gijuldarigi is a game that celebrates the first full moon of the New Year in the lunar calendar and is a game that promotes a sense of community to wish ideal cooperation within the community. It is now in the 21st century settled as Samcheok first full moon Festival(feast). It is a traditional local feast during the time when not many feasts are going on. It is different from the cases of other traditional full moon feasts which are seasonal. The author has stressed for a long time that gijuldarigi should be restored as it was. Sulbitong play and gijuldarigi are the signature cultural assets not only as in Samcheok city but also on a nationwide level. These are the games with full of fun, playing with retreating and stepping out which were originated from dualization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outskirts and inner areas and governors and lords. Height of a thatched roof, length of players in a town plaza, rope twisting of ‘Isabu’ boat rope, etc. are the original forms of the game. Endurance of gijuldarigi lies 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ulture in Samcheok.
    It was called gijuldarigi event in 1974 and renamed Jukseo Culture Festival in 1978 as the full moon feast. Originated from gijuldarigi continued since the mid Chosun era, Samcheok full moon feast should be continued as a creative modern festival that can entertain both gods and humans, based on rigorous traditions. It can be possible by leadership of a group of sophisticated amateur members in the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villages and experts should closely communicate for preservation. Also, related institutions, groups, industries and schools should efficiently cooperate to maintain the game and the feast. Areas linked by gijuldarigi should cooperate actively and continue to grow through well-intentioned competition and development.
    First full moon feast should be developed as an innovative project for establishing Samcheok mind mark brand. First full moon feast should be established as a tradition-oriented fusion festival with great potential in winter season. Exciting contents should be more specified and extended. Its performance(dynamic) elements and entertaining(comic) elements should be added to the traditional elements of the game(gijuldarigi). Hologram can promote participation on various levels. The rope should be restored and maintained and there should be a place dedicated to the game where visual holography can keep people interested in the game and provide excitement. Also, a pitching workshop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first full moon folk g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