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고·중세 결부제의 전개과정 (The Development of the Gyeol-bu System(結負) in Korean Ancient and Middle Ages)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0.09
52P 미리보기
한국 고·중세 결부제의 전개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학림 / 46권 / 29 ~ 80페이지
    · 저자명 : 이인재

    초록

    농경이 국가경제의 토대였던 전근대 국가에서는 합리적인 조세정책을 운영하기 위해 농부와 함께 농지 파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는 시대별 특성에 맞는 공정한 호구조사와 양전을 통해 농업을 장려하였다. 결부제라는 측량시스템은 토지의 크기, 수확량, 과세를 연결시키는 제도로서, 고조선부터 조선에 이르는 한국 전근대 토지제도의 기본 도구로 사용해 왔다. 고조선에서는 수확량만 계산하는 고대적 결부양전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중국의 동진과 천하체제 구축 압력으로 고조선이 쇠망하자, 고조선의 후예인 열국과 삼국은 여러 형태로 스스로의 경제체질을 바꾸려 하였다. 고대에서 중세사회로의 전환 모색 및 실현이었다. 그 와중에 결부양전제는 수확량과 함께 면적도 동시에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파와 파적의 제시였다. 그렇게 새로워진 중세적 결부양전제를 토대로 고구려는 공정한 조세제도를 만들었고, 좌식자와 하호라는 중세 전주전객제도 구축하였다. 고구려의 뒤를 이어 신라와 발해도 중세 전주전객제를 운영하였다. 중앙정부는 파와 파적의 제시에 그쳤지만, 전국 각 지역의 농업현장에서는 결과 결적, 부와 부적, 속과 속적, 파와 파적의 적용에 자의성이 높아졌다. 폭렴의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전주와 전객 가운데 전주들을 위한 제1차 중세적 결부양전법의 보완이 필요해진 것이다. 결국 9세기 이후 신라와 고려 정부는 수확량 중심의 결부속파와 면적중심의 결적, 부적, 속적, 파적과의 상관관계를 정리하기 위해 1결=방33보(1089보2)라는 보적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결부수에 1089를 곱하면 결적을 알 수 있게 하고, 결적에 1089를 나누면 결부수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여말선초 제2차 중세적 결부양전법의 보완은 전주전객 가운데 전객을 위한 정책이었다. 이전과 달리 농업현장을 지키고 있던 전객농민 특히 자경소농들의 입장에서는 정부가 측량한 후 알려준 농지 면적과 수확량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했고, 정부도 그 요청을 받아들였다. 조선의 세종정부는 이를 위해 농지가 기름지고 척박한 정도를 반영하여 면적은 차이가 있지만 결부수가 같으면 조세수취량은 동일하다는 것을 공유하기 위해 부적 중심의 결부양전제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는 곧 중세적 결부양전제가 해체되기 시작했음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In pre-modern economies that were founded on agriculture, it was important to identify which farmland belonged to which farmers in order to implement tax policies. Many nations encouraged agriculture through fair censuses and land measurements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The Korean gyeol-bu(結負) system of land measurement was determined taxes based on the land area and production capacity, serving as a the core pre-modern land taxation instrument in Korea. In Gojoseon, an ancient gyeol-bu (結負) system was used to calculate only land yield. In the Middle Ag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beginning the Joseon Dynasty, the system was modified to measure both land yield and area. During this time, the pa (把) unit of land area was created and defined to promote international trade. When land size was the standard by which taxes were collected, people neglected yield. Then the bo(步積) standard was developed which accounted for both land yield and area. After that, the jeon-ju (田主) standard was developed for tax collectors. However, this standard was somewhat subjective, creating problems for the jeon-gaeg(佃客), taxpayers. In response, the bu (負積) standard was developed which jeon-gaeg(佃客) found more reliable, even when being used to evaluate small parcels of 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