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주명의 제주학 연구의 의의 (Jeju Studies of Seok Joo-My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1.08
49P 미리보기
석주명의 제주학 연구의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39호 / 215 ~ 263페이지
    · 저자명 : 윤용택

    초록

    석주명은 ‘제주적인 것’의 가치를 가장 먼저 알아본 인물이다. 그는 60여 년 전 제주도의 특이한 자연과 문화가 귀하다는 것을 깨닫고, 그것들이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하루바삐 한국의 식자들이 제주도의 자료를 수집하여 체계를 세울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자연과학도였던 그가 제주도의 자연뿐만 아니라 인문사회 분야 연구에 직접 뛰어들어 제주학 연구의 초석이 되는 ‘제주도총서’를 결집(結集)해내었다.
    석주명의 제주학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그가 남긴 자료들은 제주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이다. 그것들은 제주4ㆍ3 이전의 제주도 자연과 인문사회의 원형(原形)에 가까운 자료들로서, 그로 인해 그는 자타가 공인하는 제주학의 선구자가 되었다. 둘째,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에 의해 종합적으로 제주도가 이뤄졌다. 당시 일본 어용학자들의 제주도 연구 목적은 자원을 수탈하고 사회를 지배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석주명은 제주도 연구를 한국의 자태(姿態)를 밝히는 국학(國學) 연구의 연장으로 보았다. 셋째,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인문사회 분야에도 적용하는 선례를 남겼다. 즉 나비연구에서 사용하는 통계, 분류, 분석 방법들을 방언연구, 인구조사, 문헌분류 등에서도 응용하였다. 그리 본다면 석주명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학문융합의 선구자라 할 수 있다. 넷째, 석주명은 제주학 연구를 통해 통합학자가 되었다. 그는 제주도 연구 이전에는 한낱 곤충학자에 불과했지만, 제주도 연구를 거치면서 자연, 인문, 사회분야를 아우르는 통합학자로 성장했다.
    석주명이 세상을 떠난 지도 60년이 지났다. 많이 늦었지만 석주명 학문 전체에서 그의 제주학 연구가 차지하는 위치를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동안 학문 전반에서 연구방법과 내용이 많이 달라졌고, 제주학 분야에서도 양과 질에서 상당한 성과가 나오고 있다. 그에 걸맞게 석주명의 제주학 연구에 대해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좀 더 객관적이고 냉정한 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Seok Joo-Myung(1908. 10. 17 - 1950. 10. 6) was the first man who became aware of the value of Jejudaum(Jejuesque or Jeju style). About sixty years ago he perceived that the nature and culture of Jeju Island is very peculiar and important. He insisted that Korean intelligent people have to collect the materials of Jeju Island and formulate a system of Jeju studies. He studied the culture as well as the nature of Jeju Island for himself, and compiled materials into Jejudochongseo(a series of Jeju Island Studies by Seok).
    The Jeju studies of Seok are significant as follows ; First, Seok laid the foundation for Jeju studies. Jejudochongseo(a series of Jeju Island Studies) is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Jeju studies. The materials are the almost original forms of the nature environment and human society of Jeju Island. For that reason he became a precursor of Jeju studies. Secondly, the nature and culture of Jeju Island was studied as a whole by Korean scholar during the latter part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t that time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patronized scholar studied Jeju Island for the exploitation of its resources and the domination of Jeju society. But Seok investigated Jeju Island for the inquiring into the true state of Korea, and he regared it as projecting Korean studies. Thirdly, Seok applied methodology of natural science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In other words he applied statistical and analytic method in butterfly-taxonomy to the dialect studies, the census, and bibliography. In that point, he was a precursor of the converging sciences. Fourthly, Seok occupied a position of integrating scholar owing to his Jeju studies. He was nothing but a noted entomologist before he had studied Jeju Island. But he became an integrating scholar who put together nature, humanity, and society since he had studied Jeju Island.
    Seok has been dead for sixty years. There is a need today to consider Seok's Jeju studies from many angles in his whole studies. In the past sixty years many studies have changed their research methods, and Jeju studies have been rewarded with good fruits. We must estimate objectively Seok's academic achievements from many sphe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전